내수 소비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목표로 진행된 ‘9월 동행축제’가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8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된 이번 축제는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을 올렸으며,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이 각각 4856억 원, 2412억 원 판매되는 등 총체적인 소비 촉진 효과를 거두었다.
이번 동행축제가 추진된 배경에는 침체된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해야 한다는 절실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축제는 전국 단위의 온·오프라인 행사를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고,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다양한 연계 행사 및 이벤트를 병행하여 소비 분위기 확산에 집중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총 2만 7000여 개의 업체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증가한 6700만 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 증가한 62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와 24%로 높여 지역 상권과의 접점을 확대했다. 제주 개막식 행사(8월 30일~9월 5일)에는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한 판매전에서 85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은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온누리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통해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도 큰 호응을 얻었다.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했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을 제공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할인쿠폰을 발급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에도 힘썼다.
최원영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이어 “10월 말에는 동행축제,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을 통합한 대규모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10월 29일~11월 9일)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들이 지속된다면 소비 심리 회복과 소상공인 경영 안정에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