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193개 유엔 회원국 모두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역사적인 대기록을 세웠다. 2025년 4월 10일, 마지막 미수교국이었던 시리아와의 외교 관계 수립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극비 방 시리아를 통해 성사되었다. 이는 한 편의 외교 첩보극을 연상케 하는 극적인 순간으로, 우리 외교 지형의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추는 의미를 지닌다. 조 장관은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있듯, 어렵게 마련된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시리아를 방문했다”며 이번 수교를 ‘끝내기 홈런’에 비유했다.
이번 시리아와의 수교를 가능하게 한 배경에는 이슬람주의 반군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 시리아해방기구)이 지난해 12월 초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급격한 정세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 HTS는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혁명 이후 알아사드 정권에 맞서 싸워왔으며, 2024년 11월 말, 열흘 만에 수도 다마스쿠스를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시리아의 도살자’로 불리던 알아사드는 후원국인 러시아로 도주했고, 1970년 집권 이후 54년간 이어져 온 부자 세습 독재는 막을 내렸다. 이러한 시리아 정권의 갑작스러운 몰락은 독재 체제 특유의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억압과 통제로 내부 여론을 차단한 결과, 체제는 몰락의 징후조차 감지하지 못했고 부패와 불신 속에 한순간에 무너진 것이다.
한편, 지난해 2월 북한과만 수교해 오던 쿠바와의 외교 관계 수립에 이어 이번 시리아와의 수교까지 성공하며 대한민국은 사실상 모든 유엔 회원국과 외교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는 북한에게 주요 해외 공작 거점을 또다시 잃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외교적 고립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알아사드 정권 붕괴 당시 현지 북한 대사관은 서둘러 철수했다.
시리아 세습 독재 정권의 몰락은 북한에 실존적인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김일성 시대부터 혈맹 관계를 이어온 시리아 정권이 하루아침에 무너진 것처럼, 북한 역시 러시아와의 군사 동맹에 생존을 의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까지 약속한 북한으로서는, 최근 미국과 러시아 사이의 밀월 기류가 어디까지 진전될지를 예의주시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더불어, 2025년 1월 HTS 수장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시리아는 현재 심각한 경제난에 직면해 있다. 내전 이후 경제가 85% 이상 위축되고 인구의 90%가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절망적인 상황에서, 전쟁으로 붕괴된 경제와 국가 제도를 복구하고 헌법 채택 및 선거 시행까지 최대 4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리아는 한국의 경제 성장 비결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발전 모델을 배우기 위한 실무 대표단 파견 의사를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역시 개발 경험 공유, 인도적 지원, 경제 재건 협력을 제안했다. 한국은 중동 국가들에서 아시아적 가치를 지키면서도 시장 경제를 이룬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우리의 경험이 새로운 시리아를 꿈꾸는 이들에게 희망과 확신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