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정책을 단순히 시혜의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데서 벗어나, 직접 정책 과정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 주목받고 있다.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에서 운영하는 ‘청년인재DB’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청년들이 정책의 주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과거 청년 정책은 장학금, 취업 지원, 문화 혜택 등 ‘받는 것’에 국한되어 인식되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청년들이 정책을 자신과 무관한 외부의 결정으로 여기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청년인재DB’는 이러한 수동적인 정책 수혜자로서의 틀을 깨고, 청년들이 자신의 경험과 목소리를 바탕으로 정책을 제안하고 실행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청년인재DB’는 단순한 정보 제공 창구를 넘어, 개인의 이력과 관심사를 등록하면 정책위원회, 자문단, 기자단 등 다양한 정책 활동으로 연결되는 혁신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은 자신의 프로필을 통해 정책 과정에 대한 참여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회원 가입 후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은 자신의 기자단 활동 경험, 현장 정책 체험 사례, 그리고 청년 당사자로서 정책에 바라는 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단순한 지원을 넘어 정책 과정의 한 축이 될 수 있다는 현실적인 감각을 키워나간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청년인재DB’를 통해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원회 위촉직 청년위원에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정책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 자리들은 단순히 명예직이 아니라,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다양한 정책 의제에 대한 논의와 자문을 맡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청년인재DB’의 가장 큰 장점은 ‘내가 직접 지원할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프로필을 등록해두면 관련 담당자가 먼저 연락하여 참여를 제안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는 청년들이 기회를 찾아다니는 수고를 덜어주고, 정책과 청년을 연결하는 든든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비록 당장의 위촉이 성사되지 않더라도, ‘청년인재DB’라는 통로를 알게 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이는 청년들이 더 이상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에 머무를 필요가 없으며, 자신의 프로필을 등록하고 관심사를 드러내며 정책에 목소리를 보탬으로써 제도 개선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현재 많은 청년들이 정책을 멀게 느끼고 자신과 상관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취업, 주거, 교육, 문화생활 등 청년의 삶과 가장 밀접한 제도들이 정책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청년이 직접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고, 제도를 감시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청년인재DB’는 이러한 청년의 정책 참여 가능성을 열어주는 관문으로서, 앞으로 더 많은 또래 청년들이 이 제도를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정책을 ‘받는 것’에만 머물지 않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청년이 늘어날수록, 정책은 더욱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게 발전할 것이다. ‘청년인재DB’를 시작으로 청년들은 자신들이 서 있는 자리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목소리를 내고, 직접 참여하는 순간 정책은 우리 곁에서 살아 움직이는 존재가 될 수 있다. 이는 곧 청년 스스로가 사회 변화를 만드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