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반복되는 명절 연휴 기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부족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의료기관의 휴무와 직원들의 휴가로 인해 병상 확보 및 적절한 의료기관 연결에 어려움이 따르면서, 응급 환자들이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해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민들이 안심하고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비상근무체계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소방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석 연휴 동안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빈틈없는 구급상황관리 체계를 가동했다. 이를 위해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 상담 인력을 204명(60.4%) 증원 배치했으며, 상담 전화를 받는 수보대 역시 하루 평균 29대(34.5%)를 증설하여 운영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단순한 신고 접수를 넘어,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자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질병 상담과 응급처치 지도 등을 통해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 환자들에게는 가정 내에서 자체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도모했다.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총 5만 6151건으로, 일평균 8022건에 달해 평시(4616건) 대비 73.8% 증가하는 등 국민들의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상담 항목별로는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휴 마지막 날인 6일 추석 당일에 가장 많은 상담이 집중되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중증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체계적인 협력 시스템을 통해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현장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가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었다.
이러한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 응급 환자들의 소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경북 지역에서는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했던 배뇨 장애 및 의식 저하 소아 환자(20개월, 남)와 장중첩증이 의심되는 소아 환자(7세, 남)를 서울·경기 지역의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해 소방헬기를 투입했다. 충북과 전북 지역에서는 조산 위험이 높은 임신부의 이송을 지원하고, 구급차 내에서 출산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며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다. 또한,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함으로써, 환자가 골든타임 안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현재 소방청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개선안은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후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전원하는 체계로 개선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는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긴밀한 협력 덕분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 이송 체계의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