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 속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원전 없이 지속 가능한 탄소 감축은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은 2020년 7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경고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2022년 2월 원전을 친환경 에너지에 포함하는 택소노미 개정을 결정했다. 또한 같은 해 6월 뉴욕타임즈는 원전 르네상스의 도래를 예고하는 기사를 보도했다.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원전 산업 생태계에 희망을 불어넣은 신한울 1,2호기의 준공과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은 우리나라 원전 기술력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다.
이는 그동안 원자로 펌프, 제어시스템 등 핵심 부품의 자립화를 이루어낸 우리나라 원전 기술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신한울 1,2호기의 준공과,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침체되었던 원전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이 가져온 결과다. 2022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동향을 읽은 정부의 발 빠른 정책 전환은 침체되었던 원전 산업에 새로운 희망을 제시했다. 원전 없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풍부한 풍력 자원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를 추진하는 영국뿐만 아니라, 스웨덴은 2050년까지 10기의 원전을 추가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35%의 전력을 원전을 통해 공급하고 있는 스위스도 신규 원전 건설을 국민투표에 부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탈원전 정책을 추진했던 이탈리아마저도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유럽은 세계 최대의 원전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스웨덴의 10기, 네덜란드의 4기, 폴란드의 6기, 체코의 4기 건설 계획과 더불어 영국은 1GW급 원전 24기 분량의 추가 계획을 가지고 있다. 체코는 15년 전 UAE에서의 성공에 이어, 이번에도 경쟁 입찰을 통해 한국이 원전 시장에서 승리하며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러한 해외에서의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신한울 1,2호기의 준공과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이 자리하고 있다. 1972년 고리 1호기 도입 이래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2년에 1기꼴로 원전을 건설해 온 산업 생태계의 유지가 우리나라 원전 경쟁력의 근간이다. 2000년대에도 국내 12기, 해외 4기의 원전을 건설하며 미국, 프랑스와 비견될 만한 공급망, 설계, 제작, 건설 기술을 확보했다. 만약 탈원전 정책이 더 지속되었다면 이러한 산업 기반을 잃을 위기에 처할 수도 있었으나, 신한울 1,2호기의 준공과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은 우리나라 원전 산업 역사에 길이 남을 순간이 될 것이다.
이제 우리 원전은 다음 순서로 네덜란드 시장에 도전할 것이다. 네덜란드는 이미 한국을 포함한 프랑스, 미국에 참여를 요청하며 세계 원전 시장 확대라는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회와 함께 위기 요인도 존재한다. 세계 원전 시장은 한·미·프 삼국 경쟁 구도이며, 이번 승리가 다음에도 보장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 연마와 팀 코리아의 결속을 더욱 다져야 한다. 국가 역량을 결집해야 할 시점에 체코 원전 사업을 힐난하는 것은 외부에 쏟아야 할 노력을 국내 문제에 소모하게 만들 뿐이다. ‘K-원전’은 우리 청년 세대에게 또 하나의 자부심이 될 수 있으며, 청년들이 유럽의 탄소중립을 이끄는 ‘K-원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미래를 만들 기회가 바로 지금이다. ‘K-원전’이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선도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