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은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찾아오며 시민들의 몸과 마음에 깊은 침잠을 안겼다. 이러한 이상기후 속에서 일상에 지친 이들은 잠시나마 현실에서 벗어나 마음의 여유를 찾고자 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즉각적인 여행은 쉽지 않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개최하며 시민들에게 새로운 사유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주로 공공 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이번 ‘가가77페이지’에서의 프로그램은 독립 서점이라는 이색적인 공간에서 인문학을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가가77페이지는 망원시장 인근에 자리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이번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의 폭넓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7월 21일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된다.
이상명 가가77페이지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을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닌, 생각의 밭과 마음의 밭을 넓히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렵게만 느껴지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를 바탕으로,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게 다가가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1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로 깊이 있는 강연과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생각 나눔이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영화를 통해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나를 깨운 문장’, ‘내 목소리를 찾아본 순간’, ‘Carpe Diem 선언문’ 등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활동지에 기록하고 공유했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이 외친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말처럼, 참여자들은 현재 자신의 삶에 대한 진정한 질문을 던지며 하루를 시작하겠다고 다짐하기도 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참여자들에게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말하며,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 ‘길 위의 인문학’에 참여하는 많은 분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인문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오히려 인공지능(AI) 시대에 인문학적 사고 체계가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더 나아가 도덕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근간이 된다고 역설했다. 또한, 어려운 출판 및 서점 시장 상황 속에서 동네 책방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가가77페이지가 이러한 문화적 가치를 담고 즐기며 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길 위의 인문학’ 소식을 접하고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프로그램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며, 반복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박 씨는 또한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인문학이 짧은 지식이 아닌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깊어지는 분야이기에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참여 기회가 마련되기를 희망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전국 곳곳에서 인문학과 지역 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의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러한 사업의 의미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며,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인문학적 깊이를 더하고 삶의 성찰을 이끌어낼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