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이 풍부해지고 만물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절기, 소만에 맞춰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고기능성 검정콩 신품종 ‘소만’이 공개되었다. 이는 최근 쌀 대신 콩을 심는 정책으로 콩 재배 면적과 자급률은 증가했으나, 1인당 연간 콩 소비량은 감소하며 정체 상태에 빠진 국내 콩 산업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현재 정부는 쌀 수급 조절과 콩 자급률 제고를 위해 논에 콩을 재배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콩 재배 면적은 2021년 5만 4,000ha에서 2024년 7만 4,000ha로 크게 늘었으며, 같은 기간 콩 자급률 역시 23.7%에서 38.6%로 상승했다. 그러나 이러한 생산량 증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1인당 연간 콩 소비량은 2015년 8.2kg에서 2022년 7.3kg으로 오히려 줄어든 상황이다. 이러한 생산 증가와 소비 부진의 불균형 속에서 새로운 트렌드에 부합하는 소비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된 ‘소만’ 품종은 기존 검정콩의 건강기능성을 한층 강화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검정콩은 일반 콩에 비해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 암 예방, 혈당 감소, 지질 개선 등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약콩’이라 불리던 종자 크기가 작은 검정콩은 예부터 약효가 있다고 여겨졌다.
이번에 공개된 신품종 ‘소만’은 현재 가장 많이 재배되는 청자5호보다 크기는 다소 작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검정콩 중 항산화 물질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 예방 효과가 있는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은 기존 품종인 청자5호 및 소청자에 비해 1.6배에서 최대 3배 더 높으며, 항산화 활성은 1.5배에서 3.6배까지 높아 항노화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소만’의 뛰어난 기능성은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농촌진흥청과 동아대학교의 공동 연구 결과, ‘소만’ 추출물은 암세포 증식과 종양 성장을 유의미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세포 실험에서는 뇌종양, 유방암, 피부암 세포 증식이 각각 약 52.2%, 40.6%, 58.4% 감소했으며, 피부암 모델 동물 실험에서는 종양 부피와 무게가 무처리군 대비 각각 72.3%, 64.7% 적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 재래 검정콩 투여군 대비해서도 확연히 개선된 수치이다.
기능성뿐만 아니라 ‘소만’은 재배 안정성과 편리성 또한 뛰어나다. 쓰러짐에 강하고 꼬투리가 높게 달리면서도 잘 터지지 않아 기계 수확에도 용이하며, 10a당 약 303kg의 수량성은 기존 품종인 소청자보다 약 13% 이상 많아 기능성과 생산성을 모두 갖춘 실용적인 품종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소만’은 통상실시업체를 통해 일부 유통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종자 보급이 추진될 예정이다. 올해는 현장 실증을 통해 대규모 영농 시 재배 안정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계획이며, 산업체에 공급할 원료곡 17t도 확보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계약 재배를 통한 안정적인 원료 수급 체계를 구축하고, 건강기능식품, 환자식, 고령친화식 등 다양한 제품 개발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소만’이 국민 건강 증진과 더불어 국산 콩 산업의 든든한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농촌진흥청은 앞으로도 디지털 육종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콩 품종 개발과 산업화 연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