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6일은 자원순환의 날이다. 하지만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활폐기물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에 대한 혼란은 여전하다. 어떤 폐기물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어떤 폐기물은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많은 시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분리배출의 어려움은 곧 재활용률 저하와 환경오염이라는 더 큰 문제로 이어진다. 오염되거나 잘못 분류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소각되거나 매립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정확한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환경부는 올해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wasteguide.or.kr)을 새롭게 개설하며 시민들의 분리배출 고민 해결에 나섰다. 이 누리집은 단순한 분리배출 방법 안내를 넘어, 시민들이 왜 분리배출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자신이 버린 폐기물이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크게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분리배출 개요’는 분리배출의 필요성과 함께 재활용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재활용가능자원의 재활용 과정’ 항목에서는 골판지, 유리병, 전지 등이 어떻게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시민들이 분리배출이 단순한 의무가 아닌 환경을 살리는 실천임을 체감하게 한다. 둘째, ‘분리배출 방법 안내’는 폐기물 종류별, 주택 유형별로 상세한 분리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치킨 뼈와 같은 동물의 뼈뿐만 아니라 조개류 껍데기, 핵과류 씨, 알·견과류·곡류·콩류·채소류 껍질, 복어 내장, 한약재 찌꺼기 등은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배출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혼란을 줄인다. 또한, 택배 송장이나 전단지와 같이 코팅된 종이류는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류와 달리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배출해야 한다는 점도 명확히 안내한다. 셋째, ‘지역별 분리배출 안내’는 각 지자체의 누리집으로 바로 연결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배출 시간, 장소, 조례 및 과태료 부과 기준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넷째, ‘고객지원’ 항목에서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문과 답변을 통해 시민들의 궁금증을 즉각적으로 해결한다. 예를 들어, 무색 페트병을 압착 후 뚜껑을 닫아 배출하는 이유가 재활용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라는 설명을 통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실천을 유도한다.
이처럼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기존의 분리배출에 대한 막연한 어려움과 찝찝함을 해소해 줄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누리집을 통해 시민들이 분리배출 방법을 제대로 숙지하고 실천하게 된다면, 재활용률을 획기적으로 높여 자원순환 사회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는 곧 폐기물 발생량 감소와 환경 보호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으로 이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