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 아름다운 단풍을 즐기기 위해 산을 찾는 발길이 늘면서 연중 가장 많은 등산사고가 발생하는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특히 실족과 조난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가을 단풍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원문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1~2023년) 10월에는 총 3445건의 등산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1370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다른 달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수치로, 10월의 등산 환경이 다른 때보다 더 위험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고 원인별로 살펴보면, 실족이 8188건(3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뒤이어 조난 6871건(26%), 지병 등으로 인한 신체 질환 4645건(18%)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는 등산객들이 익숙하지 않은 지형에서 발을 헛디디거나, 갑작스러운 날씨 변화, 체력 저하 등으로 인해 조난을 당하는 사례가 많음을 보여준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안전한 산행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제시했다. 첫째, 산행 전에는 반드시 등산 소요시간, 대피소 위치,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한 일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더불어 자신의 체력 수준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산행 중 몸에 무리가 느껴진다면 지체 없이 하산해야 한다. 둘째, 평소 산행 경험이 많지 않은 등산객은 체력 관리에 더욱 신경 쓰고, 출입이 통제된 위험·금지 구역에는 절대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지정된 등산로를 벗어나 샛길 등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능하면 혼자보다는 일행과 함께 산행하는 것이 안전사고 발생 시 대처 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길을 잃었을 경우 당황하지 않고 왔던 길을 따라 아는 지점까지 되돌아가는 것이 우선이다. 만약 구조가 필요하다면, 등산로 곳곳에 설치된 산악위치표지판이나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알리는 것이 신속한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산에서는 해가 일찍 저물어 조난 등의 사고 위험이 높아지므로, 가급적 아침 일찍 산행을 시작하여 해가 지기 1~2시간 전에는 하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기연 행안부 예방정책국장은 “10월 단풍철에는 평소 산을 찾지 않던 사람들도 단풍을 즐기러 산에 오르는 경우가 많아 사고 예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가까운 산에 가더라도 행선지를 주변에 알리고,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안전하게 가을 단풍을 즐기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러한 예방 조치와 안전 수칙 준수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고 즐거운 단풍철을 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