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고유의 문자이자 K-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한글이 세계적으로 그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려는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히 우리 민족만의 유산을 넘어, 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서 14만 명 이상이 배우고 있는 K-문화의 핵심 동력이라는 사실은 이미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파급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미래를 선도하는 언어 및 문화 자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과제가 남았다.
이에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글의 역사적 의의와 세계적 가치를 재조명하며, 미래 사회에서 한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김 총리는 한글이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한 세계 유일의 문자로,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한글 창제 정신에 담긴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과 혁신의 정신이 오늘날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통해 인류애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민족의 혼을 지켜낸 선조들의 숭고한 노력 또한 기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러한 한글의 위대함은 단순히 문자적 우수성을 넘어, K-팝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감동을 공유하는 K-문화의 원천이 되고 있다.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콘텐츠를 즐기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은 이러한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고,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한국어 기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에도 힘쓸 예정이다. 더 나아가, 곧 개최될 APEC에서 ‘초격차 K-APEC’을 실현하고 한글을 포함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민석 총리의 발언은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끌어가는 강력한 소프트 파워로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적 노력은 한글의 세계적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K-문화의 지속적인 확산과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