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어와 한글을 세계인이 공유하는 문화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단순히 우리 고유 문자를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K-문화라는 세계적 흐름을 타고 한국어와 한글을 미래를 이끌어갈 소통의 언어이자 문화적 원천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현재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서 14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흐름의 가능성을 입증한다.
이처럼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 교류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배우도록 장려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정부는 우선적으로 언론과 뉴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의 표현력을 높이고, K-팝이나 한국 드라마, 영화와 같이 세계 팬들과 소통하는 데 더욱 효과적인 매개체로 만들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해외에서의 한국어 학습 기회를 대폭 확대하기 위해 세종학당을 더욱 확장하는 계획도 포함되었다. 또한,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지원함으로써 한글의 실질적인 활용 범위를 넓히고 그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은 미래 기술 발전과 한국어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백성을 향한 사랑과 혁신의 정신으로 탄생한 인류의 위대한 지적 성취임을 재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마음으로 탄생한 훈민정음을 통해 문맹 퇴치에 기여하며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는 현재의 모습은 한글이 가진 보편적 가치를 증명한다. 또한,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지켜낸 한글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민족의 정신적 버팀목으로서 한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정부는 이번 APEC을 ‘초격차 K-APEC’으로 만들고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강력한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한국어와 한글이 세계 무대에서 더욱 빛나는 위상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