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마비되었던 핵심 행정정보시스템들이 복구되고,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대체 수단이 마련되는 등 긴박한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기록포털이 재가동되면서, 추석 연휴를 앞둔 국민들의 안전 및 정보 접근성 확보에 숨통이 트였다.
이번 사태는 국가 핵심 정보 인프라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다수의 행정정보시스템이 중단되면서 비롯되었다. 이로 인해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다양한 행정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되고, 행정 공백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었다. 행정안전부는 2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열고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 대한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근본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중대본 회의 결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의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 제공이 재개되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시민들의 안전과 재난 관리에 필수적인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가 정상화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국가의 역사와 기록을 담고 있는 국가기록포털 역시 재가동되어 국민들의 정보 접근권을 회복시켰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와 관련하여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가 행정전산망 장애로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 송구하다”고 밝히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 순위를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전문 인력을 현장에 투입했으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의 현장 방문을 통해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 또한 안정성과 재발 방지를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기여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 등 주요 포털을 통해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국민들에게 안내하고 있다.
한편, 국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과거에 사용되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또한, 시스템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은 보완하여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 마련과 예비비 투입을 통해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앞으로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여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하며, 국민들의 신뢰 회복과 행정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