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직의 본질에 대한 깊은 고민이 제기되고 있다.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의 김윤서 주무관은 수필을 통해 공무원이라는 직책이 단순히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서로 돕고 살아가는 ‘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적인 역할 수행 과정에서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그에 대한 성찰이 기사 전반에 걸쳐 드러난다.
특히 김 주무관은 7년 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던 시절, 합격하면 어떤 어려움도 웃으면서 해낼 수 있을 것이라 다짐했던 초심과 현재 민원 업무를 수행하며 느끼는 괴리감에 주목한다.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일이었던 지난 4월 5일, 감독관으로 참여한 동료 주무관으로부터 응시생들이 빼곡하게 시험에 응시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김 주무관은 자신이 겪었던 치열했던 시험 준비 과정과 면접 당시의 긴장감을 떠올린다. 당시 면접관에게 “처음의 마음을 잊지 않는 공무원이 되고 싶다”고 말했던 자신을 돌아보며, 그는 그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것이었는지 뒤늦게 깨달았다고 고백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어려움은 김 주무관 개인만의 문제일까? 그는 동료 공무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과 비슷한 어려움을 느끼는 동료들이 많으며, 각기 다른 가치관과 목표 속에서도 신규 공무원 시절에는 나와 같은 마음이었음을 확인한다. 읍행정복지센터의 일상은 분주하다. 매일 수많은 민원인이 방문하고, 때로는 기쁨이 되는 출생 신고, 때로는 슬픔이 전해지는 사망 신고를 접하며 김 주무관은 개인적인 감정이 무너지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과거 민원을 받고 사실 조사를 나갔던 기억을 떠올리며, 현재의 일상 속에서 자신의 일이 주는 의미와 감정이 희미해져감을 느낀다.
이러한 무너진 감정을 추스르게 된 계기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찾아왔다. 산불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되면서 직원들과 함께 산불 예방을 위한 마을 순찰 및 홍보 활동에 나선 것이다. 비록 마을 지리에 어두워 꼼꼼하게 마을을 살펴보지 못했지만, 공설묘지를 찾은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지를 나누어주며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공무원으로서 작은 노력이라도 보태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는다. 또한, 여러 유관기관에서 이어진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기부는 지역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확인시켜 주었고, 그 안에서 공무원의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로 이어진다.
결론적으로 김윤서 주무관은 7년 동안 공직 생활을 통해 느낀 바를 ‘다리’라는 상징으로 풀어낸다. 공무원은 주민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건너가 서로 돕고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존재이며, 자신은 그 다리가 되기를 희망한다. 과거 출구 없는 동굴 속에서 벽을 더듬듯 느릿하게 걸었던 시간을 지나, 이제는 벽을 더듬지 않고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뛰어나가는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