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의 데이터 관리 방식이 인공지능(AI) 시대에 심각한 ‘지능 격차’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파편화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조직과 모든 맥락과 참고 자료를 공유하는 조직 간의 AI 성능 차이가 극명하게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핵심은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 AI’에게 얼마나 풍부하고 맥락이 담긴 데이터를 제공하느냐에 달려 있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의 데이터는 D 드라이브에 저장되는 경우가 많아, 컴퓨터 포맷과 함께 사라질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수많은 맥락, 암묵지, 그리고 업무 과정까지 포맷과 함께 소실됨을 의미한다. 미래에 대한민국 공무원들이 활용해야 할 인공지능의 발전 역시 불확실한 미래로 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데이터 관리 방식과 더불어, 보고서 작성 문화 역시 AI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높은 직급으로 올라갈수록 보고서는 1페이지로 압축되며, 자간·장평까지 완벽하게 맞추는 것을 ‘짬’으로 여기는 문화가 존재한다. 모든 문장은 개조식, 즉 ‘음슴체’로 작성되어 핵심 정보만을 간결하게 전달하는 데 집중한다.
하지만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러한 방식과 확연히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아마존의 ‘6 페이저(6 Pager)’는 모든 구성원이 6페이지 분량의 메모를 작성하여 공유하고, 회의 참석자 전원이 첫 30분간 이 메모를 읽는 데 할애한다. 이 메모는 도입부, 목표, 원칙, 사업 현황, 교훈, 전략적 우선순위, 부록으로 구성되어 명확한 논리적 흐름을 갖춘 완전한 문장으로 서술된다. 이는 ‘음슴체’와 같은 간결한 보고서가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쉬운 반면, 서술 구조를 갖춘 완전한 문장은 더 나은 사고와 중요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강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콘밸리의 많은 기업들은 내부 회의에서 파워포인트(PPT)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파워포인트가 판매 도구일 뿐, 내부 논의에서는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쉽게 만든다고 지적하며, 좋은 4페이지 메모 작성이 20페이지 파워포인트보다 어렵다고 강조했다.
협업 시스템 측면에서도 클라우드 기반의 위키 엔진을 활용한 공개 게시판이 기본이다. 재무 및 인사 부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서는 게시판을 공개로 설정하여, 모든 참가자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모든 논의 과정과 자료가 축적되어 ‘문장’이 아닌 ‘문맥’을 공유할 수 있게 하며, 조직 내에 쌓이는 모든 자료와 검토 자료는 인공지능 학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AI 시대에 뒤처지지 않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그리고 보고서 작성 방식의 혁신이 시급하다. 1페이지 요약에 집착하기보다는 총소유비용(TCO) 관점에서 보고서의 전체 효율성을 고려해야 하며, 중요한 보고는 반드시 서술체로 작성해야 한다. 이는 엉성한 사고를 숨기는 ‘음슴체’를 넘어, 인공지능을 학습시키고 맥락을 공유하며 훨씬 뛰어난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무원들은 이처럼 훨씬 더 뛰어난 인공지능을 쓸 자격이 있다고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