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 등 각기 다른 주체들이 분산적으로 추진해왔던 인공지능(AI) 관련 정책과 자원들이 국가적 차원의 통합된 리더십 부재 속에서 시너지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은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가적 목표 달성에 있어 중대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었다. 다양한 주체들의 역량이 파편화되어 산발적으로 운영되면서, 혁신을 가속화하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효율성과 응집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가적 비전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 분야를 총괄하는 부총리 체제를 본격적으로 출범시킨다. 이는 흩어져 있던 정부, 민간,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자원과 역량을 한데 모아 국가 인공지능 혁신을 체계적으로 주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새로운 총괄 부총리 체제는 분산된 에너지들을 하나의 방향으로 결집시켜, 국가 AI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결정은 2025년 9월 30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함으로써 법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과학기술·인공지능 총괄 부총리는 앞으로 범국가적인 AI 정책을 총괄 기획하고 조정하며, 각 부처와 기관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AI 분야의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핵심 기술 개발 및 인재 양성에 집중함으로써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궁극적으로는 AI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