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무원 공채 시험이 치러졌던 지난 4월 5일, 한 교실에서 19명의 응시생이 시험에 임했다는 동료 주무관의 이야기는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에서 민원 업무를 담당하는 김윤서 주무관의 마음속 깊은 성찰을 불러일으켰다. 7년 전,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었던 시절, 출구가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더듬거리며 한 걸음씩 나아가던 기억과 합격하면 어떤 어려움도 웃으며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패기 넘치던 다짐을 되새기게 된 것이다. 하지만 7년이 지난 지금, 주민들에게 증명서를 발급하고 전입신고를 받는 일상 속에서 당시의 무거운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약속이었는지 뒤늦게 깨닫고 있다는 김 주무관의 고백은 현직 공무원들이 겪는 본질적인 어려움을 드러낸다.
특히, 읍행정복지센터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민원인들과의 짧은 만남 속에서 때로는 훈훈함을, 때로는 먹먹함을 느끼며 일상의 분주함에 치여 자신의 감정이나 일에 대한 초기 마음이 무너져 있음을 느꼈다고 한다. 이러한 무력감 속에서 김 주무관은 산불 예방을 위한 비상근무에 참여하며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다. 읍장님을 포함한 직원들과 함께 마을을 순찰하고 주민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비록 마을 지리에 어두웠지만 꼼꼼하게 지역을 살피고 성묘객들에게 조심을 당부하며 국가적인 재난 상황에 작은 노력이나마 보태는 것이 공무원의 임무임을 다시 한번 느꼈다는 것이다. 또한, 여러 유관기관에서 이어진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기부가 이어지는 모습을 보며, 우리가 살아가는 이곳이 서로 돕고 보듬는 지역사회임을 실감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김 주무관은 7년이라는 시간 동안 공직 생활을 하며 느낀 공무원의 진정한 역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하게 되었다. 공무원은 단순히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존재가 아니라, 주민들이 서로 상생하며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서로 만나 함께 돕고 살 수 있도록 자신의 역할을 내어주는 ‘다리’처럼, 김 주무관은 이제 가장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고 싶다는 바람을 내비친다. 과거 벽을 더듬으며 느릿하게 걷던 시간들을 뒤로하고, 튼튼한 두 ‘다리’로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겠다는 김윤서 주무관의 다짐은 앞으로 그가 펼쳐나갈 공직 생활에 대한 기대를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