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류는 세계 시장에서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두고 있다. BTS, <오징어게임>, <기생충>을 넘어 블랙핑크, 세븐틴, NCT와 같은 K팝 그룹들은 BTS의 앨범 판매 기록을 경신하며 빌보드 차트를 휩쓸고 있다. 특히 스트레이 키즈는 7개 앨범 연속 빌보드 Top 200 1위라는 신기록을 세우며 K팝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 이러한 한류의 흥행은 올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2000만 명 돌파라는 기록적인 성과로 이어지며, 한국 관광의 미래 역시 밝게 전망하게 한다. 관광객 증가는 곧 한국을 미디어로만 접하던 것을 넘어 거리에서 직접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의 한류 체험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눈부신 성공 이면에는 한류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언론을 통해 전 세계로 생중계되는 과격한 혐오 시위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각인될 수 있다. 또한, 한국 미디어 콘텐츠에 내재된 인종주의적 감수성이나 성차별적 요소들은 글로벌 한류 팬들의 민감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오징어게임>의 외국인 캐릭터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재현이나, 아이돌 문화 속 젠더 표현, K뷰티를 둘러싼 인종 및 피부색주의에 대한 논쟁은 이러한 문제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들은 한국 내부의 차별적인 현실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으며, 한류가 ‘밑으로부터의 세계화’로서 중시하는 선한 영향력, 배려, 연대, 돌봄의 가치와는 상반되는 모습이다.
한류 연구자인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이러한 한류의 위기를 시장 축소보다는 ‘우리 내부의 차별’과의 싸움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한국의 콘텐츠가 전 세계인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개발도상국들에게는 극복의 모델을 제시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만약 내부의 차별과 배제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한류의 매력은 퇴색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한류의 밝은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지난 십수년간 제자리걸음인 ‘차별금지법’ 제정이 시급하다. 차별금지법은 단순히 소수자 보호를 넘어, 한국 사회 전반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시키고, 한류가 가진 긍정적인 영향력을 더욱 확산시키는 기반이 될 것이다. 이는 곧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