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발생한 화재로 인한 정보시스템 장애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대국민 주요 서비스 정상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3일 오전 6시 기준으로 1등급 시스템 30개(75%)와 2등급 시스템 35개(51.5%)를 포함해 총 260개 시스템(36.7%)이 복구되었으나, 아직 상당수의 시스템이 장애 상태에 놓여 국민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인해 우편정보 ePOST 쇼핑(우체국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 등 1등급 시스템의 일부가 복구되면서, 국민과 공공기관은 온라인을 통해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물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 복구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의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의 서비스도 재개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핵심 서비스들이 정상화되지 못해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제11차 회의를 개최하여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과 복구 방안, 그리고 정보시스템 장애 관련 민원 처리 실태를 집중 점검했다. 중대본은 대국민 주요 서비스와 업무 등급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최단 시간 내 시스템을 재가동할 수 있는 복구 방식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한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반면,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되, 백업 또는 기존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이러한 복구 작업에는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복구 인원도 추가로 투입되어 작업 속도를 높이고 있다.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불편 민원은 화재 다음 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에서 점차 감소하여 현재 일일 300건 내외가 접수되고 있으며, 주요 상담 내용은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이용 방법, 기한 연장 등이다.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여 국민과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세부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하여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히며, “연일 밤낮으로 복구에 매달리고 있는 정부·공공기관과 민간업체 직원의 신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로 인한 정보 시스템 장애 사태의 조속한 정상화와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