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이 도심 한복판에서 손쉽게 예술을 접하고 문화적 휴식을 얻기 어려웠던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립극단은 시민들에게 열린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한낮의 명동극’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인다. 이는 단순히 공연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 예술이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돕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우리나라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질 높은 공연을 선보여왔다.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슬로건 아래, <한낮의 명동극>을 비롯해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낮의 명동극>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펼쳐진다.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장르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공연은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지닌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은 이러한 취지가 성공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 방송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추었고, 호기심 어린 시선은 점차 이야기에 몰입했다. 단 한 명의 연주자였지만,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들은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변화시켰다. 그림을 그리거나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듯한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으며,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경험을 선사했다. 연주자는 공연 도중 관객과 소통하며 배역을 부여하는 등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했다. 이처럼 단순한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은 시민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안겨주었다. 아이들과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시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함으로써, 시간을 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모두 예술을 향유할 수 있게 한다. 약 20~40분으로 구성된 공연 시간은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는 점은 시민들의 참여를 더욱 독려한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 중단 또는 취소가 될 수 있다.
남은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 <한낮의 명동극>을 만날 수 있는 날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만약 명동 방문이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할인 혜택,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도서관의 ‘두 배로 대출’ 등 다양한 문화 혜택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므로, 개인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바쁜 현대 사회 속에서 잠시 멈춰 만나는 작은 무대는 일상에 쉼표를 더하며, 시민들에게 잊지 못할 문화적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