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은 ‘청년의 날’이다. 이는 청년들의 권리와 자립, 그리고 성장을 응원하기 위해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날이다. 이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년들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들을 준비하고 있다. 올해는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청년주간’이 운영되며,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
처음에는 ‘청년의 날’이라는 명칭만으로는 어떤 행사가 열릴지, 그리고 자신과 같은 청년들이 무엇을 참여해야 할지에 대한 막연함이 존재했다. 또한, 형식적이고 딱딱한 행사들만 준비될 것이라는 선입견도 있었다. 하지만 막상 관련 행사 정보를 찾아보니,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청년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고민할 만한 주제를 다루는 행사들이 생각보다 매우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행사 정보를 찾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누리집에서 ‘청년정책’ 또는 ‘청년센터’ 관련 메뉴를 확인하거나, 지자체 인스타그램 등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소식을 받아볼 수 있다. 또한,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청년의 날’을 검색하거나, 검색창에 ‘청년의 날 + 지역명’을 입력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올해에는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와 같이, 로이킴 공연을 포함한 순천의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 개그우먼 김영희 토크콘서트와 안성 청년가왕 행사 등이 포함된 안성시의 <안성청년 쉴래말래?> 청년 축제 등 지역별로 개성 넘치는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청년들이 자신의 관심 분야와 맞는 행사를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필자는 올해 서울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 직접 참여하였다. 특히,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등을 연출한 김태호 PD의 강연은 미디어 분야에 관심이 많은 필자에게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9월 18일, 평일 저녁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김태호 PD의 강연을 듣기 위해 많은 청년이 자리를 가득 메웠다. 긴 시간 동안 진행된 강연 중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야기였다. 김태호 PD는 방송국 중심의 미디어 환경에서 벗어나 플랫폼이 다양해진 현 시대에, 이러한 변화 속에서 어떻게 콘텐츠를 기획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통찰을 공유했다. 이는 PD는 아니지만 같은 미디어 산업 분야를 준비하는 필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강연에는 기자, 작가, 크리에이터 등 언론·미디어 분야를 꿈꾸는 많은 청년이 함께 자리했으며, 함께 고개를 끄덕이고 웃으며 즐겁게 소통하는 분위기가 인상적이었다. 무엇보다 이번 강연에서는 수어 통역이 함께 제공되어 더 많은 청년이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다양한 청년들을 포용하려는 이러한 배려가 느껴져 더욱 의미 있게 다가왔다.
최근 진로에 대한 불안감, 특히 같은 길을 가려는 경쟁자가 많다는 현실 앞에서 주눅이 들 때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강연을 통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를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다. 실제로 작년에도 청년의 날 즈음에 ‘위라클’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박위의 강연을 들으며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자신만의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던 경험이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청년의 날’ 행사에 직접 참여하며, 문득 ‘청년의 날’은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잠시라도 멈춰서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소중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선물하는 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각 지역에서 정말 다양한 행사들이 열리고 있는 만큼, 청년들이 각자 관심 있는 분야의 강연을 듣거나 부스를 체험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좋은 추억과 의미 있는 경험을 얻어가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필자는 ‘청년의 날’마다 적극적으로 양질의 강연과 프로그램을 찾아 참여할 예정이다. 진로에 대한 막막함이나 불안감을 느끼거나, 혹은 새로운 영감을 얻고 싶은 청년이라면 ‘청년의 날’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보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