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 제품의 작은 글씨로 된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워 겪는 소비자의 불편함이 개선될 전망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빽빽한 정보 표기로 포장재 낭비까지 초래해왔던 문제가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통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소비자는 제품 패키지에 인쇄된 작은 글씨 대신 QR코드를 스캔해 상세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화장품 e-라벨’ 정책에서 비롯된다. 해당 정책은 화장품의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 형태로 제공하는 사업으로, 소비자는 제품의 주요 정보는 패키지에서 명확하게 확인하고, 더 자세한 정보는 휴대폰 스캔을 통해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에 포장 면적을 크게 차지했던 작은 글씨의 정보를 줄여 소비자에게는 가독성을 높이고, 제조사에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화장품 e-라벨은 통상 패키지 박스의 뒷면, 사용 방법이나 유의 사항이 기재된 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품명, 제조 번호, 소비기한과 같이 소비자가 자주 찾는 정보는 확대된 글자 크기로 직접 제공되며, 안전 정보, 사용법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e-라벨’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가 압축된다. 다만, 모든 정보가 QR코드 안에 담기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법에서 정한 명칭, 영업자 상호,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바코드 등 필수 표기 정보는 여전히 패키지 겉면에 텍스트로 기재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기능성화장품 표시,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 등 부가 정보를 e-라벨 안에 포함시키면서, 기존의 좁은 면적에 모든 정보를 집약하여 가독성을 떨어뜨렸던 문제점을 해결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정부혁신 실행계획에 따르면,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받은 결과, 2025년에는 제품군을 대폭 확대했다. 특히 2차 시범 사업에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기존에 포함되지 않았던 제품군이 추가되어 총 13개사 76개 품목이 시범 운영에 도입되었다.
소비자들은 e-라벨 도입으로 인한 편리함을 체감하고 있다. 작은 글씨로 인해 정보를 놓치거나 읽기 어려웠던 경험이 줄어들었으며, QR코드 스캔만으로도 제품 필수 표기 정보를 큰 글씨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음성 변환 기능(TTS) 도입도 예정되어 있어, 앞으로는 정보 습득이 더욱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보 확인이 간편해짐에 따라 소비자가 제품의 성분이나 유의 사항을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이 형성될 것이며, 이는 잠재적인 피부 트러블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화장품 e-라벨은 소비자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포장지 자원을 절약함으로써 친환경에도 기여하는 다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시공간의 제약 없이 QR코드만 있다면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비록 아직 모든 제품에 적용된 것은 아니지만, 제품 패키지 뒷면의 안내 문구를 통해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건강을 위해 화장품 필수 정보 숙지는 매우 중요하며, 작은 글씨로 인한 정보 가독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화장품 e-라벨’이 소비자와 환경 모두에게 긍정적인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