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명절을 앞두고 은행 창구에서 목돈 이체 절차가 강화되면서 고객들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 모처럼 은행을 찾은 이용객들은 이전에 비해 훨씬 까다로워진 절차에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최근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 피싱 사례가 급증함에 따른 은행권의 공동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기존의 은행 이체 업무와 달리, 현재는 창구를 이용한 고액 인출 및 이체 거래 고객에게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 시청이 필수로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실제 발생한 보이스 피싱 최신 사례에 대한 안내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점점 내 돈 찾기도 힘들어진다’는 일부 고객의 볼멘소리를 야기하기도 하지만, 은행 측은 “요즘 보이스 피싱이 점점 더 지능화되고 피해 금액도 계속 커지고 있다”며 “고객님의 소중한 자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함”이라고 강화된 절차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예방 조치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통계가 발표되었다. 2025년 상반기(1월~7월) 보이스 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특히 7월에는 월별 피해액 기준 역대 최대치인 1,345억 원을 기록하며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kfdb.or.kr)에서는 보이스 피싱 예방 동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며, 신종 금융사기 유형 안내 및 예방 방법, 피해 구제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고객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금융권의 노력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일부 은행은 보이스 피싱 등 금융사기 전담 창구를 설치하는가 하면, 금융감독원에서는 ‘보이스 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국민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신규 제도 제안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2025년 상반기(1~7월) 7,992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액을 고려할 때, 발신 번호 확인이 가능한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의 24시간 상담 서비스와 112 신고 연계, 악성 앱 설치 시 경찰서 방문을 통한 제거 앱 설치 지원 등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은행권은 강화된 이체 절차와 더불어 다양한 예방 활동 및 대응 시스템 구축을 통해 보이스 피싱이라는 심각한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앞으로도 ‘보이스 피싱 의심하Go, 주저 없이 전화 끊Go, 해당 기관에 확인하Go’라는 캠페인을 통해 고객들이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