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들이 정책을 단순히 ‘받는 것’으로만 인식하며 정책 과정에서 소외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대학생 시절, 정책은 장학금, 취업 지원, 문화 혜택 등 자신에게 주어지는 수혜의 형태로만 다가왔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활동을 통해 정책이 누군가의 기획과 실행으로 만들어지는 결과물임을 체감하면서,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가 정책 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커졌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이 운영하는 ‘청년인재DB’가 청년을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에서 능동적인 참여자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해결책으로 떠올랐다.
청년인재DB는 청년들이 단순한 정보를 받아보는 창구를 넘어, 개인의 이력과 관심사를 등록하면 정책위원회, 자문단, 기자단 등 다양한 정책 활동 기회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 누리집이다. 이는 곧 청년들을 ‘정책을 받는 사람’에서 ‘정책을 만들어가는 사람’으로 전환시키는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를 접한 청년들은 회원가입 후 자신의 경험과 정책에 대한 바람을 담아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청년들은 정책 과정의 한 축으로서 자신이 기여할 수 있다는 현실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청년인재DB의 두드러진 장점은 청년 스스로가 기회를 찾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록된 프로필을 바탕으로 관련 담당자가 먼저 연락하여 참여를 제안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는 기회를 찾아다니는 수고를 덜어주고, 정책과 청년을 효과적으로 연결해 주는 든든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실제 필자는 청년인재DB를 통해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원회 위촉직 청년위원에 지원하는 경험을 했다. 이 자리는 명예직이 아닌,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다양한 정책 의제에 대한 논의와 자문을 맡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청년인재DB를 통해 지원하는 과정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중요한 것은 청년들이 더 이상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로 머물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프로필을 등록하고 관심사를 드러내며 정책에 목소리를 보탬으로써 제도 개선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는 곧 청년 스스로가 사회 변화를 만드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많은 청년이 정책을 자신과 무관한 영역으로 여기지만, 취업, 주거, 교육, 문화생활 등 삶의 모든 영역이 정책의 영향 아래 놓여 있다. 따라서 청년이 직접 참여해 의견을 개진하고 제도를 감시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청년인재DB는 이러한 청년 참여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관문으로서, 앞으로 더 많은 청년이 이 제도를 인지하고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책을 ‘받는 것’에 머물지 않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청년이 늘어날수록, 정책은 더욱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게 발전할 것이다. 필자 역시 이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필요한 자리에 참여하며, 청년 당사자의 관점에서 정책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 정책은 멀리 있지 않다. 우리가 서 있는 자리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목소리를 내며 직접 참여하는 순간, 정책은 우리 곁에서 살아 움직이게 된다. 청년인재DB는 그 출발선이며, 이제 더 많은 청년이 그 문을 두드리고 사회를 바꿔나가는 주체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