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들의 편의 증진과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각종 정책 발표가 쏟아지고 있지만, 정작 그 근간이 되는 ‘기록’ 시스템이 부재하여 실질적인 개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IT 업계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AI 시대를 맞아 필수적인 데이터 축적 및 활용이 불가능한 현 상황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꼬집는다. AI 기술 도입만으로는 서비스 개선이 어렵다는 주장이다.
기록, 즉 ‘로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순서대로 기록하는 핵심적인 시스템이다. 사용자 로그인,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발생 등 다양한 사건들이 기록되며, 이는 시스템 운영,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보안 강화에 필수적인 정보가 된다. 이러한 로그 시스템의 부재는 현재 많은 공공 서비스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심각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로그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으면, 어떤 메뉴가 자주 사용되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사용자 편의를 위한 합리적인 메뉴 배치가 불가능하다. 또한, 웹사이트 로딩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인지하고 개선하는 것도 요원하다. 3초 이상 소요되는 웹사이트에서 40%의 사용자가 이탈한다는 통계가 있듯이, 느린 서비스는 사용자 경험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 좌절하거나 업무를 완료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상황조차 파악할 수 없어 문제점을 해결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게 된다. 결국, 국민들은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불편과 답답함을 겪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인공지능(AI)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지속적인 업무 활동을 통해 축적되고 기계가 읽을 수 있으며 통합될 수 있어야 진정한 가치를 지닌다. 예를 들어, AI 비서는 공무원들이 낮에 작성한 문서들을 바탕으로 밤새 관련 과거 사례를 찾고, 다른 부서와의 시너지 창출 가능성을 제안하며, 회의록 정보를 바탕으로 할 일, 책임자, 중간보고일 등을 정리하여 캘린더에 자동 기록하는 등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AI의 잠재력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일을 하면 저절로 데이터가 쌓이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데이터 확보와 더불어 모든 업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 일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축적되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AI 전환은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소프트웨어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클라우드 활용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더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 마치 로그가 없는 웹페이지를 아무리 오래 운영해도 서비스가 개선되지 않는 것처럼, 기록의 부재는 AI 시대를 맞아 국민에게 더 나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모든 노력의 발목을 잡는 근본적인 장애물이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