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동행축제 행사가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소비 진작 효과는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과 소상공인들의 경영 안정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매전을 포함하여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견인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적인 매출이 발생했으며, 이와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는 내수 시장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 동행축제는 본래 내수 소비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전국 단위의 소비촉진 행사로서, 이번 행사 또한 그 본연의 취지를 성공적으로 달성했음을 보여준다.
9월 축제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단순히 상품 판매에만 집중하지 않았다.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한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양한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6700만 원) 증가하는 등 괄목할 만한 매출 신장을 기록했으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 역시 13배(6200만 원) 이상의 매출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제시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큰 주목을 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소비 회복에 기여했다. 이번 축제의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에 발맞춰,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린 점이 눈에 띈다. 전체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 지역이 24%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힘썼다. 특히 제주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진행되어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는 이틀간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에서도 50개 사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유통 구조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이 외에도 상생소비복권과 다양한 민간 기업의 소비 촉진 이벤트는 소비 심리를 자극하고 실제 소비로 이어지도록 유도했다. 상생소비복권은 1000만 명이 응모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기록했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힘을 보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할인쿠폰 발급과 더불어 집중호우 피해 지역의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할인쿠폰을 제공하며 지역 상권 회복을 지원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동행축제를 통해 확인된 내수 활성화의 긍정적 효과를 이어가고, 보다 확대된 규모의 국가 단위 할인 축제를 통해 우리 경제에 지속적인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