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연휴는 전국적으로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업무량 증가라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소방청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며 빈틈없는 구급상황관리에 나섰다고 14일 밝혔다. 연휴 기간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 및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상담 인력을 204명, 즉 60.4% 증원했으며,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 또한 하루 평균 29대, 34.5% 늘려 운영했다.
이러한 증원 및 확충은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또한, 질병 상담과 응급처치 지도 등을 통해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환자에게는 가정 내에서 가능한 응급대처 방법을 안내하는 ‘솔루션’을 제공했다.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총 5만 6151건으로, 일평균 8022건에 달해 평시(4616건) 대비 73.8%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이러한 시스템은 가동되었다. 특히 상담이 가장 많았던 날은 추석 당일이었으며, 상담 항목별로는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았고, 이어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중증환자 발생 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는 원활하게 가동되었다. 이러한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의 소생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예를 들어 경북에서는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한 소아 환자 두 명을 서울·경기 지역 병원으로,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 임신부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다. 또한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성공적인 대응에도 불구하고,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이 현재 추진 중이라는 점은 ‘향후 전망’으로 분석된다. 이 개선안은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은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뒤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이송하는 체계로 발전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고 밝히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결국 명절 기간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생명과 직결되는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 서비스 제공이라는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는 기대효과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