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인프라 분야에서 인공지능(AI) 도입이 가속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Bentley Systems는 지난 10월 15일 개최된 ‘Year in Infrastructure 2025’ 컨퍼런스를 통해 새로운 인프라 AI 역량을 대거 공개하며 이러한 변화를 예고했다. 이번 행사는 AI, 개방형 데이터, 지리 공간 기술이 인프라 설계, 구축, 운영 방식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였다.
이번 컨퍼런스는 글로벌 인프라 분야의 리더와 혁신가들이 모여 기술과 엔지니어링 전문성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Bentley Systems의 CEO Nicholas Cumins와 CTO Julien Moutte는 기조연설에서 새로운 인프라 AI 역량을 선보이고, 엔지니어링 회사 및 자산 소유주들이 차세대 AI 기반 워크플로우를 형성하도록 초대하는 ‘Infrastructure AI Co-Innovation Initiative’를 소개했다. Cumins CEO는 “AI는 인프라를 변혁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Bentley의 비전은 AI가 인프라 엔지니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며, “인프라 맥락에 기반한 신뢰할 수 있는 AI는 엔지니어링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프로젝트 및 자산 라이프사이클 전반의 워크플로우를 변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 ‘Going Digital Awards’ 부문에서는 출품작의 거의 3분의 1, 그리고 최종 후보작의 절반 가량이 AI를 프로젝트에 통합하는 등 업계 전반의 AI 채택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했다. 이는 Bentley Systems가 Pinsent Masons, Mott MacDonald, Turner & Townsend와 협력하여 발표한 글로벌 설문 조사 결과와도 일치한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약 절반의 인프라 전문가들이 현재 AI를 시험적으로 도입하거나 이미 구현 중이며, 생산성 향상 및 문서 자동화를 위해 AI 사용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Cumins CEO는 “더 나은, 더 탄력적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과제는 엔지니어링 역량”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필요한 모든 작업을 수행하기에 엔지니어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AI는 이러한 역량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생산성의 도약적 발전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Bentley Systems는 작년 ‘OpenSite+’ 소개에 이어, 이번 컨퍼런스에서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제공을 가속화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AI 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변전소 설계 협업을 강화하는 ‘OpenUtilities Substation+’와 차세대 건설 관리 솔루션인 ‘SYNCHRO+’가 포함된다. 이러한 발표들은 인프라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AI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실질적인 문제 해결 도구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