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거주 당시 한국을 향한 외국 친구들의 호기심은 낯선 한국으로의 방문으로 이어지곤 했다. 한 친구는 한국 전통 결혼식을 올리고 싶다며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 당시 사진관에서 한복을 대여해 결혼사진을 찍는 것을 도왔던 경험은 문화 교류의 작은 시작이었다. 시간이 흘러 한류와 K-문화가 세계를 휩쓸면서, 처음 호기심을 가졌던 친구의 자녀들은 이제 한국 문화에 깊이 빠져들고 있다. 이러한 경험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국민 개개인의 문화적 영향력 증대’라는 문제를 명확히 보여준다. 과거 정부 주도의 제한적인 외교를 넘어, 이제는 국민 개개인이 ‘공공 외교관’으로서 자국을 알리는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정부는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외교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이러한 사업 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단순히 정부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외교를 실현하려는 의지를 드러낸다. 이러한 정책적 방향은 ‘국민 개개인의 공공 외교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안 마련’이라는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공공 외교주간’과 같은 축제 개최 및 관련 사업 확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이러한 문제 해결의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9월 8일부터 27일까지 한국국제교류재단(KF) 글로벌 센터와 각 대사관, 서울광장 등지에서 진행되는 이 행사는 정부 간 외교와는 달리 문화와 예술을 통해 국민이 신뢰와 호감을 쌓는 ‘공공 외교’를 국민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다양한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은 참가자들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교류하며 국제사회 협력의 기반이 되는 호감과 신뢰를 쌓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 워크숍에서는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와 커피 전문가 강병문 씨가 커피의 역사, 콜롬비아 커피의 특징, 재배 과정 등을 설명하며 한국과 콜롬비아 간의 문화적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참여자들은 커피 시음을 통해 각자의 취향을 공유하고,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콜롬비아와의 긴밀한 관계를 재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러한 경험은 참가자들에게 ‘나도 대한민국의 공공 외교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실질적인 공공 외교의 주체로서 자신의 역할을 자각하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결론적으로, ‘제7회 공공외교주간’과 같은 행사를 통해 국민들이 자연스럽게 자국의 문화를 알리고 타국 문화를 이해하는 경험은 ‘국민 외교관’으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외교는 더 이상 정부만의 전유물이 아닌, 국민의 지지와 참여 없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영역이다. 이러한 공공 외교 행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는 한국과 타국 간의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형성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더욱 확대하고 지원하여, 모든 국민이 대한민국의 공공 외교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