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현재 대전환의 길목에서 새로운 도전과 격변의 시대를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700만 재외동포의 권익과 안전을 더욱 굳건히 지키고, 이들이 조국의 발전에 선두에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강조되었다. 이는 단순히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 발표를 넘어, 위기 속에서 하나로 뭉치고 도전에 강했던 대한민국 국민과 동포의 저력을 바탕으로 더 큰 도약을 이루고자 하는 국가적 과제를 함의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제19회 ‘세계한인의날’ 기념식에서 이러한 구상을 밝혔다. 그는 5000만 국민과 700만 동포가 하나 되어 마음을 모은다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정부는 재외동포 정책의 실질적인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솔루션으로는 차세대 동포들의 민족 정체성 유지와 글로벌 리더로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 문화, 네트워크 형성 프로그램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이 약속되었다. 또한, 동포 사회의 오랜 숙원이었던 복수국적 연령 하향 문제에 대해서도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혜를 모아 해결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는 재외동포들이 모국과의 유대감을 유지하면서도 현지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정책적 의지를 보여준다.
선거 투표 환경 개선 역시 중요한 과제로 언급되었다. 재외동포들이 보다 편리하게 대한민국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신속한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영사 기능의 대폭 강화 및 재편을 통해 단순 민원 처리를 넘어 현지 교민들의 충심이 제대로 조직되고 발휘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는 재외동포가 대한민국 외교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강화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무수한 역경을 기회로 바꾼 재외동포들을 조국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로 비유하며, 더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향해 대한민국이 동포들과 손잡고 앞서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이러한 메시지를 담은 다양한 공연과 퍼포먼스가 진행되었으며, 91명의 유공 동포 중 6명에게는 정부포상이 수여되었다. 2007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세계한인의 날’은 앞으로도 해외 각지에서 활동하는 재외동포의 공헌을 기리고 모국과의 유대 강화를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 추진은 재외동포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이들의 역량을 결집하여 대한민국이 글로벌 무대에서 더욱 큰 도약을 이루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