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속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과 우리말의 소외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20대 대학생들이 한글날을 맞아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이를 보존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기념하여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한글날을 축하하는 것을 넘어, 우리말을 제대로 알아가고 친해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외래어에 잠식당하는 우리말의 현주소를 짚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번 기념행사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지도 위에 직접 적어보는 활동을 통해 우리말의 풍부함을 재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사투리를 적으며,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던 지역 방언 속에 담긴 고유한 정서를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의 의미를 되새기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즐거움을 선사했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는 올바른 문장을 선택하는 게임 형식으로 진행되어, 참여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우리말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했다. 정답을 맞히면 휴대용 물티슈를 증정하는 혜택은 참여율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근본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글’에서 ‘한’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많은 참가자들이 우리말의 깊은 뜻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우리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 부족은 일상생활 속에서의 외래어 사용을 부추기는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일상적인 표현을 우리말로 바꾸는 퀴즈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에 난항을 겪었지만, ‘가꿈이’의 힌트 덕분에 ‘누리소통망’과 ‘언급’과 같은 우리말 표현을 익히며 우리말 사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했다. 이러한 활동들은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우리말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우리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외래어 대체 표현을 제시하며 공공언어 개선이라는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증정하는 스탬프 투어 방식은 다양한 연령층의 참가자들이 모든 부스를 체험하도록 유도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평가받았다. 예상보다 훨씬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20대 청년들이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노력이 얼마나 큰지 보여주었으며, 이는 한글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함께 희망을 안겨주었다.
올림픽공원이라는 접근성 좋은 장소에 마련된 이번 행사는, 참가자들이 행사에 참여한 후 가볍게 공원을 둘러볼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더했다. 또한, 이번 행사는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우리말 가꿈이 기념행사가 추가로 열릴 예정임을 알리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변동 가능성이 있는 행사 장소 및 날짜에 대한 사전 확인을 당부하며, 이러한 체험과 홍보 활동이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하루빨리 형성되는 데 기여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았다. <우리말 가꿈이>의 이러한 노력은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외래어 범람 속에서 우리말을 굳건히 지켜나가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