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사회의 지속적인 고령화와 함께 치매는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025년 현재, 97만 명에 달하는 노인 치매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20년 뒤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어 치매 관리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11년 제정된 「치매관리법」에 따라 매년 9월 21일로 지정된 ‘치매극복의 날’은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올해로 제18회를 맞이하는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정부와 지자체는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추진과 인식 개선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적 노력의 핵심에는 전국 256곳에 설치된 지역 거점 치매안심센터가 있다. 이들 센터는 치매가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 공동체, 나아가 국가가 함께 풀어야 할 문제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누리집(nid.or.kr)에는 ‘치매가 있어도 살기 불편하지 않은 나라,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이 사회 안에서 존엄성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를 보여준다. 2025년 현재, 급속한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이러한 비전의 실현은 시급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실제로 올해 ‘치매극복의 날’을 기념하여 전국 지자체에서는 치매 인식 개선과 예방, 그리고 극복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되었다. 지역사회 주민들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와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 등은 치매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행사를 통해 참가자들은 치매 진단 후에도 약물 치료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치매의 진행 과정이 시간, 장소, 사람 순으로 나타난다는 점 등 치매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또한,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점, 그리고 치매가 암보다 흔하다는 사실 등은 치매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관련 상담과 조기 검진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치매 환자로 등록된 경우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 가족이 치매 증상을 보일 경우, 당황하지 않고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치매, 혼자서는 두려울 수 있지만 치매안심센터와 함께라면 극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해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줄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국가적 지원과 국민적 관심이 결합될 때,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은 더욱 현실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