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과의 관계 속에서 국민이 직접 문화와 예술을 통해 신뢰와 호감을 쌓는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정부 간의 경직된 외교를 넘어, 국민 개개인이 자국을 알리는 외교관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러한 필요성을 해소하고자 ‘제7회 공공외교주간’이 막을 올렸다. 이는 단순히 정부 주도의 행사를 넘어,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며 국제 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 9월 8일부터 27일까지 한국국제교류재단(KF) 글로벌 센터와 각 대사관, 서울광장 등지에서 진행된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한국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행사의 핵심 목표는 참가자들이 서로의 나라를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국제 사회 협력의 밑거름이 될 호감과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올해 행사는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는 외교부의 내년도 예산안 발표와 맞물려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행사 프로그램 중 하나로 참여한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 워크숍은 이러한 공공외교의 가능성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례였다. 약 17,800km 떨어진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한국과 콜롬비아는 커피라는 매개체를 통해 깊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워크숍에서는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가 직접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와 문화적 중요성, 그리고 커피 재배 과정의 독특한 특징을 설명했다. 콜롬비아가 1년 내내 커피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손으로 수확한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해 부드러운 맛을 낸다는 설명은 참가자들의 흥미를 자아냈다. 또한, 커피를 즐기는 전통적인 방식과 인스턴트 커피 개발 이후의 역사적 맥락, 그리고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커피 재배 경관에 대한 이야기는 콜롬비아 커피 산업의 깊이를 엿볼 수 있게 했다.
이어 진행된 강병문 씨의 커피 시연은 커피 제조 과정을 더욱 쉽게 이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비가 많이 내리는 콜롬비아의 환경 때문에 수확 후 발효를 촉진하고 부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워시드’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는 설명은 커피의 다양한 제조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참가자들은 두 가지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를 시음하며 각기 다른 향과 맛을 음미했고, 자신에게 맞는 취향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커피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쌓았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커피 향으로 가득 찬 세미나실 안에서 서로의 선호도를 나누며 자연스럽게 소통했다.
워크숍의 말미에는 커피를 넘어선 콜롬비아와 한국의 긴밀한 관계에 대한 이야기도 오갔다. 6·25 전쟁 당시 파병을 통해 한국을 도왔던 콜롬비아의 역사적 역할과 더불어, 현재 양국 국민이 무비자로 상호 방문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두 나라 간의 더욱 돈독한 유대감을 느끼게 했다. 콜롬비아 전통 모자를 쓰고 환하게 웃으며 함께 기념사진을 찍는 참가자들의 모습에서, 지리적 거리는 더 이상 관계의 걸림돌이 되지 않음을 확신할 수 있었다.
이처럼 ‘공공외교주간’은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국을 알리고 타국과 교류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외교는 더 이상 정부만의 영역이 아니라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국민의 지지와 참여 없이는 지속 가능한 외교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재확인시켜 주는 이번 행사는, 국민 개개인이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자긍심을 갖고 국제 사회와의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구축해 나가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