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화 관람료 상승으로 인해 극장 방문이 망설여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9월, 사춘기에 접어든 자녀와 함께 극장 나들이를 계획하던 한 부모는 아들의 까칠함과 더불어 영화 관람료에 대한 부담감을 느꼈다. 아이가 제안한 ‘귀멸의 칼날’ 관람을 위해 영화 티켓 가격을 확인한 결과, 이는 더 이상 쉽사리 결정하기 어려운 지출이 되었다. 집에서 OTT 서비스를 통해 편리하게 영화를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면서, 과거와 달리 극장을 찾는 발걸음이 뜸해진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대형 화면과 웅장한 사운드라는 극장만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적인 부담과 집에서의 편리함은 극장 관람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188만 장의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을 8일부터 추가로 배포한다. 이는 지난 7월 25일부터 시행되었던 450만 장의 할인권 배포에 이은 후속 조치로, 민생 회복과 더불어 침체된 영화산업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취지다. 이번 할인권 재배포는 1차 배포 시 사용되지 않은 잔여분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존 할인권을 사용했던 사람들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미리 담긴 1인 2매의 할인권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기존 회원이 아닌 신규 회원의 경우 회원 가입 절차가 필요하며, 선착순으로 진행되므로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이번 할인 혜택은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적용되어 관객들의 폭넓은 선택권을 보장한다.
이번 6천 원 할인권 재배포는 영화 관람객 수 증가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했으며,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격적인 부담이 완화되면서 그동안 극장 방문을 망설였던 잠재 관객들을 성공적으로 끌어들였음을 시사한다. 가족, 연인, 친구 등 다양한 형태로 극장을 찾은 관객들의 얼굴에 웃음이 만발한 모습은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뒷받침한다. 할인권 예매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을 위해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도 운영되어 어르신들도 손쉽게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영화 관람료 부담으로 인한 관객 감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영화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