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소폭 상향하며 0%대 성장률의 늪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 복귀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이는 지난 7월 발표한 전망치에서 0.1%p 상향된 수치로, 기획재정부는 IMF가 지난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이와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은 여러 복합적인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전 세계적으로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조치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 과정에서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2%p 높인 3.2%로 예측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 속에서 한국 경제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 잠재 성장 수준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이는 한국 경제가 현재의 저성장 국면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또한 1.6%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을 바탕으로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2.0%, 2.1%로 조정했다.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전반적으로 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되는 추세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어,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가 여전히 하방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진단하며,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제시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화, 그리고 AI 기술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상향 전망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향후 한국 경제가 회복 탄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