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가을, 명절이 다가오면 반가운 가족들이 모여 음식을 나누는 풍경이 펼쳐진다. 하지만 풍요로운 명절은 곧바로 산더미 같은 음식물 쓰레기 문제로 이어진다. 평소보다 훨씬 푸짐하게 준비되는 음식 때문에 ‘먹을 만큼만 적당히 만들어 남김없이 먹자’는 집안의 암묵적인 규칙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증가는 환경 오염과 경제적 손실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환경공단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급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하기 위한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을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음식물 잔반을 의식적으로 줄이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환경 보호와 음식물 낭비 감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이번 행사는 무선인식(RFID) 종량기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행사 포스터의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면 신청할 수 있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약 1만 4천 톤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한다. 이는 음식물 전체 생산량의 7분의 1이 쓰레기로 버려져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는 심각한 현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통계는 명절 음식물 쓰레기 감축 노력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번 캠페인은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활용한다. 10월 1일부터 14일까지의 기간 동안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하고, 이를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감량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하여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RFID 종량제 도입 이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감소를 경험한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이 행사는, 쓰레기 무게만큼 수수료를 부과하는 시스템을 통해 자연스럽게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노력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해당 지역에서 쓰레기 1kg당 63원의 배출 요금이 부과될 경우, 배출량에 따른 비용 발생은 음식물 쓰레기 감축을 위한 의식적인 노력을 이끌어낸다. 실제로 캠페인 참여를 통해 추석 연휴에도 평소보다 40원 가량 줄어든 120원의 수수료를 지불한 가정의 사례는, ‘환경 보호와 음식 낭비 감소’라는 의식을 가지고 소비 생활을 할 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 3년간 명절 연휴에 RFID 종량제 사용 가정을 대상으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을 진행한 결과, 총 6,200톤의 쓰레기를 감량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공단은 이번 추석 연휴에도 더 많은 가정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하고 있다.
생활 속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는 장 볼 때 미리 구매 목록을 작성하여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이 우선이다. 냉장고 속 재고를 미리 확인하는 습관 역시 충동 구매를 방지하여 음식물 낭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남은 음식을 재활용하여 볶음밥이나 샐러드와 같은 간단하고 건강한 요리를 만드는 것은 음식물 쓰레기 감소뿐만 아니라 가정의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모인다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눈에 띄게 줄일 수 있으며, 추석 기간을 넘어 꾸준히 이어가는 노력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