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지금 대전환의 길목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격변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5000만 국민과 700만 재외동포는 위기 앞에서 단단히 뭉치고 도전 앞에서 늘 강한 면모를 보여왔다. 하지만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과 동포들이 굳건히 조국의 영광과 발전을 함께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잠재적 위험 요소는 여전히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남아있다.
이에 정부는 해외에 계신 우리 국민과 동포 모두의 권익과 안전을 지키는 일에 더욱 힘을 쏟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제19회 ‘세계한인의날’ 기념식에서 이러한 약속을 하며, 700만 재외동포가 선두에서 조국의 발전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5000만 국민과 700만 동포가 하나로 마음을 모으면 현 위기를 이겨내고 더 큰 도약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하며, 재외동포의 역할과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정부는 재외동포들이 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차세대 동포들을 위한 교육, 문화,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또한, 동포 사회의 오랜 염원이었던 복수국적 연령 하향 문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혜를 모아 해결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더 나아가, 재외동포의 선거 투표 환경 개선에도 박차를 가한다. 가까운 곳에서 대한민국 주권을 쉽게 행사할 수 있도록 최대한 신속하게 관련 조치를 강구할 예정이다. 이는 재외동포의 정치 참여를 확대하고 국정 운영에 대한 참여를 높임으로써, 모국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영사 기능의 대폭 강화와 재편 또한 추진된다. 영사가 단순한 민원 처리를 넘어, 현지 교민들의 대한민국을 향한 충심이 제대로 조직되고 발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강화할 것이다. 이는 재외동포 사회의 역량을 결집하고, 한국과 동포 사회 간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무수한 역경을 기회가 된 동포들은 조국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과 같다. 대한민국은 더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향해, 당당히 재외동포들과 손잡고 앞서 나갈 것이다. 2007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세계한인의날’은 매년 10월 5일, 해외 각지에서 활동하는 재외동포의 공헌을 기리고 모국과의 유대 강화를 다지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10월 2일, 제19회 기념식에서는 권홍래 한국브라질장학회 고문을 포함한 91명의 유공동포 중 6명에게 정부포상이 수여되었으며, 뮤지컬배우 최정원과 고려인어린이합창단의 감동적인 공연은 세대를 잇는 애국의 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전 세계의 빛이 대한민국으로 결집되는 퍼포먼스는 재외동포와 모국이 이어지는 연결과 미래 도약의 상징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기념식의 대미를 장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