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 광진구의 한 유치원에서 서울시 특별점검반이 긴급 위생점검을 점검하고 있다. 최근 경기 안산시의 한 유치원에서 장출혈성대자균감염증 집단발병이 발생하는 등 아동 급식시설에서 식중독 사고 위험이 높아지면서 서울시는 시내 유치원·어린이집 급식소 2704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에 나섰다. 2020.7.8/뉴스1
전국 어린이집에서 발생하는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오는 10일부터 31일까지 대규모 위생관리 실태 점검에 나선다. 이번 점검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전국 어린이집 3800여 곳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이는 올해 상반기에 실시된 6536곳 점검에 이은 후속 조치로, 올해 총 1만 300여 곳에 대한 전수 점검을 마무리하는 단계다.
식중독 발생의 잠재적 위험은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온 문제점이다. 상반기 점검에서도 식품위생법 위반 업체 11곳이 적발되어 해당 지자체에 행정처분이 요청된 바 있으며, 이는 급식 시설의 위생 관리가 여전히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식약처는 소비기한 경과 제품 사용 및 보관, 보존식 관리, 급식 시설의 위생 상태 등 구체적인 점검 항목을 통해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한다. 더불어, 조리식품과 급식 조리도구에 대한 식중독균 오염 여부 검사를 병행하여 급식 과정 전반의 안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번 집중 점검은 식중독 예방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진행된다. 특히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식중독의 확산 방지를 위해 어린이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손 씻기 방법 및 환자 발생 시 구토물 소독·처리 방법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병행하여,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위생 관리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 점검을 넘어, 예방 교육을 통해 근본적인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낮추려는 솔루션으로 작용한다.
식약처는 이번 점검과 교육을 통해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의 위생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궁극적으로는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위생 점검과 예방 교육을 통해 식중독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학부모와 아동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며 신뢰를 구축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