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현수막이 걸린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단순한 시혜의 대상이 아닌, 일상에서 당연히 소비되는 제품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근본적인 과제가 제기되었다. 9월 9일(화) 열린 이 행사는 장애인 직업재활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입구부터 분주했던 사람들의 발걸음은 공공기관 관계자, 시민, 그리고 생산자들까지 각기 다른 목적으로 이곳에 모였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곧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겪고 있는 ‘사회적 인식의 낯섦’과 ‘일상 소비로의 편입’이라는 과제를 풀어내야 함을 시사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부스와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박람회는 중증장애인의 ‘손끝’에서 말해주는 자립의 가능성과 이를 통해 ‘환해진 눈빛’을 보여주는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체험이 진행되었다. 단순해 보이는 이 과정 속에는 생산 현장의 무게와 세심한 노동이 담겨 있었다. 참가자들이 실수를 연발할 때, 옆에서 손을 맞잡아주는 작업장 선생님의 도움은 가르침이 아닌 동료애에 가까웠으며, 이는 모두에게 뿌듯함을 선사했다. 완성된 쇼핑백에 새겨진 ‘일상으로’라는 문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했다. 32세의 금천구 박O광 씨는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이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 몇 번이나 실수했는데 옆에서 선생님이 손을 잡아주며 도와주셨습니다. 마지막 매듭을 완성했을 때 제 손으로 끝까지 해냈다는 성취감이 크게 다가왔습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27세의 강서구 이O도 씨는 “장애인 생산품을 특별히 사주는 물건으로 보기보다, 정직하게 만든 생활 속 제품으로 받아들여졌으면 합니다”라고 말하며,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가 제 삶과도 맞닿아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이들의 발언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단순히 ‘보호’의 대상이 아닌, ‘자립’의 주체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상품들이 진열된 전시장 안쪽에서는 ‘맛·품질·가격’으로 증명되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래그랜느 쿠키’ 부스는 HACCP 인증 문구를 통해 위생과 공정의 신뢰성을 더했으며, ‘쌤물자리’ 부스에서는 합리적인 가격대의 곡물 가공품을 선보였다.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가 내놓은 제설제와 세정제는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을 단숨에 깨뜨리며 산업 현장에서도 쓰이는 제품임을 증명했다. 제품 앞에 선 생산자들의 단정하고 당당한 표정은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자부심을 보여주었다. 관람객들은 동정이 아닌 ‘맛·품질·가격’으로 승부하는 제품들에 고개를 끄덕이며, 이는 경쟁력은 동정이 아닌 ‘맛·품질·가격’으로 증명된다는 사실을 각인시켰다.
행사장 한쪽 무대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함께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 등 다양한 협약식이 진행되었다. 포상이 과거의 성과를 기리는 자리라면, 협약은 내일의 판로를 약속하며 공급망을 열어가는 다짐이었다.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가 부스 한가운데서 납품 조건을 논의하는 모습은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심장을 뛰게 하는 목표를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이처럼 무대 위 약속과 통로에서의 대화는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같은 지향점을 향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바꾸어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장치로서, 대통령령과 관련 법률에 따라 정해진 공공기관이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쌓아가는 실질적 기반을 조성한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진실, 그것이 이번 박람회의 가장 큰 성과였으며, 소비가 바꾸는 일상은 오늘 여기서 시작된다는 것을 증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