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9월 6일은 자원순환의 날이다. 하지만 우리 일상 속 분리배출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헷갈리는 숙제로 남아있다. 올바르게 분리배출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느끼지만, 정확한 방법을 알지 못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국민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올바른 분리배출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환경부는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새롭게 개설했다. 이 누리집은 국민들이 겪는 분리배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재활용률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롭게 개설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배출 개요’에서는 분리배출의 필요성과 재활용 과정을 상세히 소개한다. 특히, 우리가 버린 폐기물이 어떻게 재활용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다시 태어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체감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골판지류, 유리병, 전지 등 다양한 자원들이 옷, 신발, 페트병 등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분리배출이 곧 재활용률을 높이고 환경을 살리는 방법임을 깨닫게 한다. 또한, 오염되거나 잘못 분류된 플라스틱은 소각되거나 매립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하여, 귀찮더라도 정확하게 분리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게 한다.
‘분리배출 방법 안내’ 항목은 폐기물 종류별, 주택 유형별 분리배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평소 헷갈리기 쉬운 음식물 쓰레기와 코팅된 종이류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여 혼란을 줄인다. 예를 들어, 치킨 뼈, 생선 뼈와 같은 동물의 뼈, 조개류의 껍데기, 핵과류의 씨, 알·견과류·곡류·콩류·채소류의 껍질 등은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배출해야 하며, 복어 내장과 같은 맹독성 잔재물, 한약 및 차류의 찌꺼기 또한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분류해야 한다. 또한, 택배 송장, 전단지 등 코팅된 종이는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배출해야 하며, 골판지, 신문지, 백판지, 종이컵, 책자 등은 종이류로 분리배출해야 한다.
‘지역별 분리배출 안내’는 각 지역의 분리배출 장소, 조례, 배출 시간 및 장소, 쓰레기 배출 과태료 부과 기준 등을 해당 지자체 누리집으로 바로 연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거주 지역의 구체적인 분리배출 방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객지원’ 항목에서는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제공하여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궁금증을 즉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무색 페트병을 압착 후 뚜껑을 닫아 배출하도록 권장하는 이유가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더 많은 양을 실어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라는 점은 국민들이 분리배출 습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처럼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분리배출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명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노력들이 모여 재활용률을 높이고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는 효과로 이어질 때, 진정한 자원순환 사회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더욱 의미 있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