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이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유적 답사를 넘어, 조선 왕조에서 대한제국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격변 속에서 기억과 예제의 변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의 운영 배경에는 과거의 혼란과 미래의 기억 보존에 대한 깊은 고민이 담겨 있다.
과거, 조선왕릉의 제사 횟수와 방식은 엄격한 예법을 따랐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 의미와 기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특히, 17세기 말 우암 송시열은 후손들이 왕릉을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왕릉마다 해당 임금을 알 수 있는 표석을 세울 것을 주장했다. 이는 왕릉 제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최초의 표석 설치 사례는 효종의 능인 영릉이었다. 또한, 표석의 글씨체 역시 송시열의 제안에 따라 전서체로 정착되며 제왕의 위엄을 강조하는 장치로 기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표석은 단순히 무덤의 주인을 알리는 것을 넘어, 예의 엄격함과 역사적 기억을 보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조선 후기에는 제사의 횟수와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순종 황제 때인 1908년,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기존의 여러 차례 제사를 명절날 한 번과 돌아가신 날의 기신제 한 번, 총 두 번으로 축소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종묘 정전에 모셔진 왕과 왕비의 능에만 해당되었고, 그 외 능에서는 명절제만 지냈다. 명절제의 날짜 역시 혼선이 있었는데, 『대한예전』에는 한식날로 규정되었으나 1899년 고종의 언급에 따라 실제 제사는 청명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복잡한 예제 변화 속에서도 조선왕릉은 명절제 대신 기신제가 중심으로 남으며 단절되지 않고 역사를 이어왔고, 이는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장 높은 자리에 자리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은 봉분을 뒤덮은 억새로 특별한 이야기를 전한다. 태조의 생전 유언에 따라 아들 태종이 고향 함흥에서 억새를 가져와 봉분을 덮었고, 이 전통은 600여 년간 이어져 왔다. 건원릉의 표석에는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적혀 태조의 위상이 황제로 격상되었음을 보여주며, 이는 왕릉 제도와 예제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다. 건원릉은 봉분 주위의 병풍석, 난간석, 호랑이와 양 석상, 망주석, 곡장 등 왕릉의 기본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제향은 봉분 아래 정자각에서 이루어진다. 정자각은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는 중심 건물로, 제물·제관·왕이 오르는 길이 구분되는 등 산 자와 죽은 자의 구분을 상징한다.
추존왕의 능은 생전에 왕이 아니었으나 뒤에 아들이 왕위에 오르면서 추존된 경우로, 정통 왕릉과는 차이가 있다. 건원릉과 달리 호랑이와 양 석상이 절반만 배치되는 등 구분된다. 추존왕의 능 중에는 익종(효명세자)과 신정왕후의 합장릉인 수릉이 대표적이며, 표석에 ‘조선국 익종대왕 수릉 신정왕후 부우’라고 새겨져 두 분이 함께 모셔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익종보다 신정왕후의 지위가 높아 배치가 달라지는 등 당시의 서열 의식이 왕릉 공간에 반영된 사례를 보여준다.
동구릉에 위치한 경릉은 헌종과 두 왕비(효현왕후·효정왕후)가 합장된 삼연릉으로,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유일한 사례다. 왕과 왕비의 위계에 따라 서열대로 배치되었으며, 비석에는 ‘부좌(附左)’ 표기가 확인된다. 삼연릉 앞의 비석은 대한제국 시기에 새겨졌으며,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이 남아 있어 당시의 사정을 엿볼 수 있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은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른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왕조에서 황제국으로 체제를 전환한 것처럼, 능의 조영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향어로의 장식은 황제의 권위를 강조했지만, 그 화려함 속에는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었다. 홍릉의 비각 표석 역시 대한제국과 일본 간의 갈등을 보여주며, 일본의 ‘前大韓’ 표현 주장에 대한 대한제국 측의 강한 반대와 그로 인한 표석 방치, 그리고 고영근의 비문 완성 등 흥미로운 역사적 맥락을 담고 있다.
홍릉과 유릉을 돌아보며 마주한 화려한 석물과 질서정연한 배치는 분명 위엄을 풍겼지만, 그 속에는 주권을 잃은 황제와 황후의 쓸쓸한 이야기가 함께 잠들어 있었다. 이처럼 조선왕릉은 그 자체로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그 뒤에 담긴 역사적 의미와 시대 변화를 기억하고 이어가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