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로운 한가위 명절을 앞두고 사람들의 마음은 들뜨지만, 이러한 명절에도 여전히 어렵고 소외된 이웃들을 돌아보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이 존재한다. 명절의 의미는 함께 나누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가치에 있는데,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착한소비’가 주목받고 있다. 착한소비란 단순히 가격이나 실용성을 넘어, 사회적 약자 보호, 환경 보호, 공정 거래와 같이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 상품이나 기업을 선택하는 소비 행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착한소비를 실천하고자 하는 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관련 상품이나 기업을 접할 수 있도록 정부는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정부는 사회적기업 육성법(2012년 8월 2일 시행)을 통해 정의된 사회적기업과 더 넓은 범위의 사회연대경제 조직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 온라인 쇼핑몰을 새롭게 개설했다.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며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한다. 사회연대경제는 이러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소셜벤처 등이 연대와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이익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대안적 경제 모델이다. 이러한 사회연대경제 기업에서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은 곧 착한소비로 이어져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이러한 착한소비를 촉진하고 사회연대경제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의 통합 플랫폼 ‘이스토어(e-store) 36.5’를 공공기관 전용 ‘가치장터’와 일반 국민 대상 ‘스토어(STORE) 36.5’로 분리하여 지난 9월 8일(월) 새롭게 개장했다. 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스토어(STORE) 36.5’는 정부가 엄선한 사회연대경제 기업의 제품만을 입점시켜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사회연대경제 기업의 상품, 친환경 제품, 지역 상생 상품, 그리고 입주 청소나 집수리와 같은 서비스까지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한다.
특히 ‘스토어(STORE) 36.5’는 ‘지속 가능한 가치 전용관’을 운영하며 약자 보호, 지역 상생, 건강한 삶, 배움의 평등, 행복한 일터, 기술 혁신, 지역 재생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상품들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또한 ‘브랜드스토리’ 코너를 통해 각 기업의 설립 배경과 사회적 가치, 그리고 SVI(Social Value Index, 사회적 가치지표)와 SPC(Social Progress Credit, 사회성과 인센티브)와 같은 사회적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소비자들이 자신의 구매가 어떤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지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씨튼장애인직업재활센터는 구직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에게 직업 훈련과 고용 기회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직업 생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5년 총 SPC가 688,799,395원에 달할 정도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명절을 앞두고 ‘스토어(STORE) 36.5’는 9월 8일(월)부터 10월 9일(목)까지 추석 기획전을 진행하며, 최대 40% 할인된 가격으로 명절 선물 제품을 제공하고 선착순 할인 쿠폰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획전을 통해 소비자는 기존 할인에 더해 추가 할인 혜택을 받아 부모님께 드릴 식자재 등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7만 5천 원 상당의 상품을 상품별 10% 할인과 쿠폰 30% 할인으로 총 5만 9천 700원에 구매하는 것이 가능했다.
결론적으로, ‘스토어(STORE) 36.5’의 개설과 추석 기획전은 명절이라는 시점에 맞춰 어려운 이웃과 지역사회에 온기를 더하고 싶은 국민들의 바람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사회연대경제 기업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국민 누구나 ‘스토어(STORE) 36.5’를 통해 편리하게 착한소비를 실천함으로써, 풍요롭고 따뜻한 명절을 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명절이 지난 이후에도 ‘스토어(STORE) 36.5’는 지속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착한소비는 언제나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