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청년들이 겪는 근본적인 고민과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적인 문화 공간이 마련되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바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타인과 연결되며, 나아가 미래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충을 문화라는 매개를 통해 풀어내고자 한 것이다.
이번 행사는 2030 세대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었다. 참여자들은 ‘탐색의 방’, ‘고민 전당포’, ‘연결의 방’, ‘영감의 방’이라는 네 개의 공간을 거치며 자신만의 취향을 발견하고, 타인과 소통하며, 새로운 영감을 얻는 경험을 했다. ‘탐색의 방’에서는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찾는 데 집중했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구성된 질문들은 청년들 스스로를 탐색하고 유형을 찾는 과정을 돕는다. ‘고민 전당포’에서는 익명의 다른 사람과 고민을 공유하고 조언을 얻는 시간을 가졌다. ‘직장 내 인간관계’로 의욕이 저하되었다는 누군가의 진솔한 고백을 마주하며, 혼자만의 힘든 싸움이 아님을 깨닫는 안도감을 얻기도 했다.
이어진 ‘연결의 방’에서는 자신의 취향을 직접 활동으로 연결하려는 청년들의 노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해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누는 장이 마련되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들이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를 거쳐 정책 의제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었다.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즉석에서 제안하며, 놓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함께 고민하는 기회였다.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꿈을 현실로 만드는 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 출판계 현직자들과의 토크콘서트는 책을 좋아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몰입할 만한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야기들로 채워졌다.
이처럼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을 문화라는 매개로 생생하게 연결하는 현장을 보여주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개최된 이 행사는, 청년 정책이 단순히 물질적인 지원을 넘어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포괄할 수 있다는 점을 몸소 경험하게 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이와 같이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