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특유의 정체성 부족으로 인한 시민들의 무관심과 청년층의 수도권 및 대도시 유출이라는 심각한 문제는 지역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도시’ 사업을 통해 각 지역이 가진 고유한 문화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정체성을 강화하며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상품 개발이나 유휴 공간을 예술가들의 창작 공간으로 전환하는 등 문화도시 사업은 지역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포함한다.
최근 개최된 ‘2025 문화도시 박람회’에는 총 37개의 문화도시가 참여하여 각 지역의 문화도시 사업 성과를 공유했다. 특히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그동안 ‘대구’나 ‘칠곡’ 하면 떠오르는 특별한 이미지가 부족하고, 심지어 지역 주민들마저도 지역 내에서 즐길 거리가 마땅치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더구나 문화도시 선정 후 2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인지도가 낮다는 점은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보여준다.
이번 박람회에서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달성문화교실, 문화달성미래포럼, 청년 축제 ‘위터스플래쉬’ 등 세대별 맞춤 사업을 추진하며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 구축과 시민 주도 프로그램 강화에 힘쓰고 있음을 알렸다. 특히 ‘들락날락 매거진’을 통해 타 지역 대비 다양한 소재의 사업을 추진하고 대구 청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방문객들을 위한 포춘쿠키 이벤트와 같은 적극적인 참여 유도는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경북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춘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을 통해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며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수 선보였다. 또한,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될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는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포럼에서는 밀양, 속초 등 각지의 문화도시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문화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인구 유출 및 감소, 지역 소멸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문화도시 사업이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 또한 청년 유출이 심각한 지역으로, 앞으로 ‘오래 살기 좋은 도시’, ‘발전하고 있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문화도시의 성공은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에 달려 있다. 37개 문화도시의 카카오 채널, 인스타그램 등 공식 SNS를 통해 소식을 접하고 각 지역에서 열리는 다양한 문화 행사에 참여하는 것이 문화도시의 밝은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지역 문화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향후 제4차 문화도시로서 달성군과 칠곡군의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가족들과의 대화를 통해 아버지께서는 전통문화 체험과 마당극, 북 공연 등을, 어머니께서는 역사 중심의 문화 행사와 인접 지자체 간의 협력 프로그램을 기대하는 등, 지역 주민들의 문화 행사 참여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청년 축제와 같은 프로그램은 청년층의 지역 내 활동을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박람회를 통해 문화도시의 노력과 가치를 직접 느끼고, 고향 대구와 칠곡이 문화도시로서 성공적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알리고자 하는 책임감이 생겨났다. 앞으로도 지역 주민의 자부심이 될 제4차 문화도시와 다른 문화도시들의 행보를 꾸준히 지켜보며 응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