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패키지에 깨알같이 적힌 작은 글씨들로 인해 소비자들이 제품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특히 염색약과 같이 사용 전 유의사항이나 성분 확인이 중요한 제품의 경우, 작은 글씨로 인해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은 소비자들의 불편함을 가중시켜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는 ‘화장품 e-라벨’이라는 새로운 모바일 정보 제공 사업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화장품 e-라벨’은 제품에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정보를 디지털 라벨 형태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소비자는 이제 제품 패키지에서 직접 작은 글씨를 읽는 대신, QR코드를 스캔하여 휴대폰으로 화장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정보는 확대된 글씨로 제공되며, 안전 정보, 사용법, 성분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 스캔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의 가독성과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또한,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포장지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이 진행 중이다. 1차 시범 사업에서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받은 결과, 2025년에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제품군을 대폭 확대하여 13개사 76개 품목으로 시범 운영을 넓혔다. 이는 기존에 패키지에 모든 정보를 텍스트로 표기해야 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제품명, 영업자 상호,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정보만 겉면에 표기하고, 보관법, 품질 특성, 기능성화장품 표시, 제조 성분 등 부가적인 모든 정보를 e-라벨 안에 담는 방식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는 이전까지 좁은 면적에 모든 필수 정보를 담아 가독성이 떨어졌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 e-라벨’은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하고 있어, 정보 접근성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QR코드만 있다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화장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들이 제품 선택 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를 더욱 쉽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화장품과 같이 민감한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줄이고, 더욱 안전하고 현명한 소비를 돕는 중요한 솔루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