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과 궁궐이 새로운 여행 프로그램으로 일반 시민들을 맞이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의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 프로그램은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유적 답사를 넘어, 왕릉과 왕릉을 잇는 길 위에서 역사의 숨결을 직접 느끼고 배우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높은 신청 경쟁률은 이러한 역사 체험 기회가 여전히 제한적임을 보여주며,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조선왕릉의 가치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이번 하반기 프로그램에는 구리 동구릉에서 남양주 홍릉과 유릉으로 이어지는 ‘순종황제 능행길’이 포함되어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탐방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이는 조선 왕실 중심의 전통적인 왕릉 탐방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회당 참가 인원은 25명으로 이전보다 소폭 확대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동구릉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시작으로 선조, 인조, 문종, 경종, 영조, 추존왕 문조, 현종, 헌종 등 총 아홉 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이다. 이곳에서는 왕릉의 구조와 제향의 의미, 그리고 능묘에 담긴 정치적 배경까지 상세히 배울 수 있다. 특히 표석의 기원과 변화는 조선 왕릉 제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표석은 송시열의 상소로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왕릉마다 해당 임금을 알 수 있는 표석을 세워 후대에 전해야 한다는 주장에서 비롯되었다. 표석의 글씨체가 전서체로 정착된 것 역시 송시열의 주장으로, 제왕과 일반인을 구분하고 예의 엄격함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순종황제 능행길은 대한제국 황실의 역사를 따라가는 여정으로, 1908년 반포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가 축소되었던 제사 제도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이 칙령은 기존에 여러 차례 지내던 제사를 명절날과 기신제로 연 2회로 줄이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종묘 정전에 모셔진 왕과 왕비의 능에만 두 차례 제사가 모두 지내졌고, 그렇지 않은 능에서는 명절제만 지내는 등 예외가 존재했다. 또한, 명절제의 날짜 역시 한식에서 청명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러한 역사적 혼선은 오늘날 명절제 대신 기신제가 중심으로 남아 정리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제사의 지속성은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동구릉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건원릉 봉분을 뒤덮은 억새는 태조 이성계의 유언에서 비롯된 전통이다. 생전에 고향의 억새를 무덤에 심어달라는 유훈에 따라 아들 태종이 함흥에서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덮었다. 이러한 전통은 6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건원릉의 표석에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진 것은 태조의 위상을 황제로 격상해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건원릉은 봉분 주위의 병풍석, 난간석, 호랑이와 양 석상, 망주석, 곡장 등 왕릉의 전형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제향은 봉분 아래 정자각에서 올린다.
왕릉의 핵심 의례 공간인 정자각은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는 중심 건물로, 정청과 배위청을 합쳐 부른다. 정자각 앞의 신로와 어로는 산 자와 죽은 자의 구분을 상징하며, 축문을 태우는 예감은 영조 때부터 정착되었다. 추존왕의 능은 생전에 왕이 아니었으나 사후에 왕으로 추존된 경우로, 일반 왕릉과 달리 석물의 배치가 절반만 이루어지는 등 차이가 존재한다. 신도비는 임금의 업적을 기록하는 비석으로, 건원릉, 태종 헌릉, 세종 영릉 등 일부에만 남아 있다.
경릉은 헌종과 두 왕비(효현왕후·효정왕후)가 모셔진 삼연릉으로,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유일한 합장 형식의 사례이다. 이곳의 비석은 대한제국 시기에 새겨졌으며,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을 통해 당시의 경제적 부담과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다.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르며,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향어로 등의 장식에서 황제의 권위를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화려함 속에는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다.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조선왕릉이 지닌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현재 세대가 이해하고 미래 세대가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한다. 초등학생 참가자의 포부처럼, 이러한 문화유산을 지키고 계승하려는 노력은 과거를 되짚는 것을 넘어 미래를 향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 세계유산으로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왕릉팔경’ 프로그램이 지닌 진정한 오늘의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