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 언론의 문화비평란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 현상은 단순한 한류 인기의 확장을 넘어, 글로벌 문화가 로컬을 성공적으로 전용한 새로운 차원을 보여주고 있다. 기록적인 흥행을 이어가는 ‘케데헌’은 한국 문화산업이 기존에 직면했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서사 자원과 가능성을 열어젖혔다는 분석이다.
이 애니메이션은 한국인이 제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화의 정수인 무당 서사와 최신 유행인 케이팝을 결합하며 글로벌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는 마치 <뮬란>이나 <쿵푸팬더>처럼 글로벌 문화가 특정 로컬 문화를 차용하여 성공을 거둔 사례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케데헌’의 초반 ‘무당 헌터스’ 영상에서 보여준 놀라운 세계관 설정과,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임무를 잊는 캐릭터 ‘호랑이 더피’의 등장 등은 원본에 대한 집착 없이 소통 능력을 극대화한 캐릭터 활용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이는 한국 문화산업 자체 제작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평가되며, 로컬의 내용을 글로벌 무대에 효과적으로 소통시키는 교본으로 여겨질 정도다.
특히 ‘케데헌’은 북미의 한인 2세 원작자 및 제작자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에서 애플 TV의 <파친코>와 유사한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파친코>가 한국 실사 드라마로서 일제강점기 조선을 배경으로 했다면, ‘케데헌’은 한국 문화의 오랜 무당 서사와 케이팝이라는 대중문화를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들에서 펼쳐 보이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차이가 있다. <파친코>가 세트에서 재현된 한국의 모습으로 여행자들의 발길을 이끌지 못했던 것과 달리, ‘케데헌’이 그려낸 서울의 풍경은 노스텔지어와 호기심을 자극하며 실제 서울로의 여행을 유도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케데헌’이 디즈니의 가족용 뮤지컬 영화들과 비교되며 반복 시청과 싱어롱을 유발하는 현상은, 기존에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독점하던 삽입곡 시장에 강력한 대안이 등장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성공의 배경에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이 크게 작용했다. 소니의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한 역동적인 캐릭터 움직임, 적극적인 시청자의 몰입을 유도하는 텍스트 전략, 디테일이 살아있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케이팝의 강력한 에너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더욱이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은 탈식민적 세계화에서 장애물로 작용했던 비서구인의 ‘몸’이라는 한계를 벗어나는 데 기여했다. 이전까지 케이팝은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틀에 갇혀 팬덤의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으나,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장벽을 낮추거나 완전히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림으로 표현된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는 인종적 복잡성을 배제하고 전 세계 시청자가 호감을 느끼기 쉬우며 코스프레 또한 용이하다. 이는 최근 플레이브,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성공적으로 진행할 만큼 발전한 케이팝 문화 속 캐릭터 문화의 진전을 보여주며, ‘케데헌’을 통해 이 캐릭터들이 세계관을 가진 채 글로벌 케이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케이팝 문화에서 세계관, 즉 그룹의 서사는 그룹의 차별성을 부각하고 팬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핵심 요소이다. 현 시대 글로벌 문화 환경에서 가치 지향성이 중시되는 가운데, ‘케데헌’의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 속 걸그룹 및 보이그룹은 디즈니의 자아 발견 공주 이야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개인 성장 스토리, DC와 마블의 우주 대전쟁 서사와는 다른 이국적이고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처럼 ‘케데헌’은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될 수 있는 개방적인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동시대적으로는 헌터스들의 세계 투어 중 로컬 ‘귀마’들과 싸우는 스토리 라인을 통해 다양한 로컬 버전의 탄생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에 더해,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일깨워준다.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이 녹아든 ‘케데헌’은 글로벌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mediation)’의 힘을 보여준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한국인의 경험을 통해 세계사를 포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지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인다. ‘케데헌’을 통해 한류는 또 다른 세계로 나아가는 문을 활짝 열어젖히고 있다.
◆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한류 연구자로 팬덤 온라인 참여 관찰부터 데이터 분석까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수행해왔으며, 스스로를 세상 속 의미 생산을 탐구하는 기호학자로 이해한다. 그는 <세계화와 디지털문화시대의 한류>, <드라마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