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1%p 높은 0.9%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유지하며,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예상을 뒷받침한다. 이번 발표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개선된 수치로,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완화와 한국 경제의 회복 가능성을 시사한다.
IMF는 지난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경제 성장률 역시 상향 조정했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3.2%로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2%p 높아졌으며, 내년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 회복세에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달러 약세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지난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되었고, 내년 역시 1.6%로 유지되었다.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2.0%, 2.1%로 0.1%p씩 상향 조정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은 4.2%로 0.1%p 높아졌으며, 내년은 4.0%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으로 무역 불확실성 및 관세의 부정적인 영향을 희석하며 올해 4.8%, 내년 4.2% 성장률 전망을 유지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이 제시되었다.
반면,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 개혁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IMF는 전망했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은 대외 여건 개선 속에서 한국 경제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