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향유 기회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는 지적 속에서, 정부가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발행을 통해 지역 문화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9월 25일(목)부터 시작된 이번 할인권 배포는 1차 때의 긍정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특히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라는 분명한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제시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2차 할인쿠폰은 기존의 전국 단위 할인권과 더불어,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전국 지역민을 위한 전용 할인권을 함께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공연의 경우 1매당 15,000원, 전시는 5,000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각 공연·전시 유형별로 2매씩 지급된다. 이는 전국 단위 할인권보다 더 강화된 혜택으로, 비수도권 주민들의 적극적인 문화 소비를 유도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모든 예매처에서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를 통해서만 발급 및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이용 시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할인쿠폰은 11월 27일까지 배포되며, 매주 목요일마다 새롭게 재발행된다.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며, 유효기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되므로 기한 내 사용을 권장한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1차와는 차이가 있으며, ‘매주 목요일’에 재발행되는 점은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할인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려는 정책적 고려가 엿보인다.
원문 자료에 제시된 실제 사례는 이러한 할인 정책의 효과를 보여준다. 추석 연휴를 맞아 고향에 머물렀던 한 이용자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활용하여 대구 북구의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린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을 저렴하게 관람했다. 할인 적용 후 5,000원이 할인된 가격으로 전시를 예매했으며, 이는 할인쿠폰이 지역 내 문화 시설 이용률을 높이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뱅크시 사진전은 굿즈 판매, 포토존, 체험 공간을 갖추며 관람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했으며, 특히 <풍선을 든 소녀> 작품의 분쇄 사건과 같은 흥미로운 이야기들은 전시의 몰입도를 높였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는 단순히 문화 소비를 촉진하는 것을 넘어, 비수도권 지역에서 개최되는 양질의 공연 및 전시들이 더 많은 대중에게 알려지고 향유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이를 통해 지역 문화 콘텐츠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 가깝게 접하며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이러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경우, 지방 문화 거점의 활성화와 더불어 문화적 소외감을 해소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