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열매 맺음을 돕는 곤충의 근본적인 생태계 기여와 더불어, 미래 식량 자원 및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곤충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자칫 부정적일 수 있는 곤충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곤충의 날’이 제정되었고, 이를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특별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하며 곤충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이 전시는 약 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곤충의 역사를 조망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해 온 곤충이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임을 보여준다.
하지만 뛰어난 적응력을 자랑하는 곤충조차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문제 앞에서는 속수무책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이동하면서 개체 수가 급감하는 현상이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인류에게 보내는 명백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실제 전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를 북상하는 먹그림나비와 푸른큰수리팔랑나비, 그리고 생존 위기에 놓인 철써기와 큰그물강도래 등의 사례를 통해 곤충의 변화를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제시하며 경각심을 일깨운다.
더욱이 붉은점모시나비와 같이 과거에는 흔했지만 먹이 식물 감소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곤충들이 있으며,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고유종의 경우,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도 영원히 사라지기에 더욱 심각한 문제다. 이러한 곤충의 위기는 결국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가 생태계 전반에 걸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의 결과다.
결론적으로, 곤충의 급격한 변화와 위기는 기후변화가 생태계를 넘어 인류에게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전시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관람객들에게 지구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책임감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곤충의 소중함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고, 우리 모두가 지구를 위한 실천에 동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