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는 27일 ‘2025년 자율형 공립고 2.0 공모 결과’를 발표, 올해 공모에 39개교가 신청한 가운데 25개교를 신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은 교육부의 교육 정책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지역 사회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 모델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이번에 선정한 학교는 교육청의 지정을 받아 내년 3월부터 자율형 공립고로서 운영을 시작한다. 교육부는 지역 사회와 연계한 특색 있는 교육 모델을 구축하고, 우수사례를 인근 일반고로 확산하여 지역의 교육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자율형 공립고 2.0’은 학교가 지자체·대학·기업 등과 학교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지역 자원과 연계해 자율적 교육모델을 운영하는 학교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3차례 공모를 통해 자율형 공립고 2.0 100개교를 선정한 데 이어 올해 25개교를 신규 선정해 전국 자율형 공립고를 총 125개교로 확대했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25개교는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들 선정교는 지역 상황과 요구에 맞는 교육 혁신을 위해 협약기관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특색 있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부는 선정 학교들의 운영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운영을 돕고 있다.
먼저 인천 강화여고는 강화 지역의 풍부한 역사·문화 자원과 해양·갯벌 등 생태 환경 교육자원을 활용할 계획이다. 역사·해양·평화·생태를 중점으로 한 특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역 내 대학, 박물관 등의 인적·물적 자원과 연계해 운영한다. 교육부는 강화여고의 교육 모델이 다른 지역의 자원 활용 교육 모델 구축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경기 백석고는 지역 내 대학과의 협력뿐만 아니라 인근 초·중·고 학교 간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교과 수업 및 체험 활동, 교사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초·중·고 학교 간 공동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백석고의 협력 체계 구축이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번에 신규 선정된 25개교의 교육 모델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성공 요인을 분석하여 전국 자율형 공립고 운영에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선정 학교들의 교육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여 자율형 공립고의 성공적인 운영을 돕고 있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자율형 공립고 2.0 선정 학교가 지역사회와 연계한 특색 있는 교육모델을 운영하고 우수사례를 인근 일반고로 확산해 지역의 교육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자율형 공립고 2.0을 알차게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청과 협력해 전문가와 연계한 자문 등 필요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